“대북제재, 북한 월세(月貰) 마저 끌어내리다” 절반 가격으로 뚝

입력 2016-05-30 08:01

북한에는 윗방을 빌려주고 달마다 돈을 받는 월셋집이 있다고 뉴포커스가 30일 보도했다.

해마다 이맘때면 집을 팔아 장사밑천을 마련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고, 그들은 임시 거처지로 도시 변두리에 있는 월세 집을 수소문하여 살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통신원의 소식에 따르면 북 중 국경도시인 혜산동, 혜강동은 밀수를 목적으로 비싼 월세를 받고 살아가는 주민들이 많다고 뉴포커스는 보도했다.

대북제재가 시작되기 전만 해도 4~5평 되는 방 월세는 중국 돈 500위안으로 거래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지난 3월 대북제재가 시작되면서 밀수가 완전히 멈추자 월세방 가격이 절반 넘게 하락한 상황이다.

현재 국경이나 시장 인근 월세는 집 크기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는 있지만 보통 중국 돈 150~200위안으로 거래되고 있다. 

반면 춘동을 비롯한 혜탄동, 송봉동은 국경이나 시장과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월세가 싸다. 춘동같은 경우 한 달 월세가 옥수수 20kg이다. 돈이 없는 주민들은 가을에 옥수수를 물어주기로 약속한다. 대신 직거래보다 두 배 되는 가격을 내기로 집주인과 약속한다.

또 다른 내부 통신원은 "요즘은 동거(월세)세대 열풍이 불면서 개인 집을 2층으로 개조(중축)하는 세대들이 늘고 있다. 도시 중심 집 가격이 보통 중국 돈 10만 원(한국 돈 1800만 원)으로 볼 때 2층으로 집을 보수하면 거액의 돈을 버는 셈"이라고 했다.

이어 "맨 처음 순안구역에서 이층집 열풍이 불면서 시장 시멘트 가격이 배로 올랐다. 바빠 난 정권은 주택관리소 직원을 현장에 파견하여 집 개건 보수를 하지 못하도록 했다. 만약 정권의 지시에 불복하는 경우 원래 집주인의 집까지 무상몰수한다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주민들이 자기 개인 집을 2층으로 만들어 파는 당당한 이유가 있다. 3년 전 정권은 개인들이 자체로 집을 짓도록 허가했다. 대신 집 한 채에 얼마라는 세금을 물게 했다. 중국 자재로 집을 짓고 정권이 요구하는 세금을 내고 나면 이익금은 생각보다 적다. 그래서 개인 집을 개조하여 2층으로 만들어 월세를 주거나 팔면 자재도 절약하고 세금부담도 덜게 된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