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탈북 및 내부 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중국 핸드폰으로 외부와 통화하는 주민들을 반역죄로 처벌하라는 지시를 하달했다고 북한전문매체인 데일리NK가 27일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최근 중국 손전화(핸드폰) 사용자들을 남조선(한국)괴뢰와 결탁된 반공화국 모략책동에 동참한 반역자로 처리할 데 대한 지시가 내려왔다”면서 “남조선(한국)과 통화하면 ‘처형도 가능하다’는 으름장에 국경지역은 말 그대로 살벌한 분위기”라고 전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최근 국가안전보위부에서 전문가들이 최신장비를 갖추고 파견 나와 24시간 감청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27국(핸드폰 단속 전문부서)과 합동해서 전파방향과 위치를 추적해 중국산 군용트럭과 오토바이로 현장에 신속히 출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최근 발생한 함북 회령 탈북 사건 등을 사전에 차단하지 못한 원인을 핸드폰을 이용한 정보통신망을 막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지난 2014년 1월 중국 핸드폰 사용을 철저히 차단할 것에 대한 지시를 내렸다. 과거 잘못은 자수하면 용서해주고, 방침 이후 적발되면 즉시 노동단련대로 보낼 것이라면서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한다.
그러나 과거 행적을 실토하는 주민들은 나오지 않았고 이에 당국은 주민들이 단속 기관에 뇌물을 주고 처벌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판단, 보다 강도 높은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소식통은 “당 대회 전후로 손전화 사용에 대한 감청 및 단속 수위가 강화됐다”고 전했다.
특히 방해 전파로 외부와 통화가 연결돼도 상대의 말소리가 잘 들리지 않고 도중에 끊기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단속 강화에 따라 뇌물 비용도 껑충 뛰어 웬만하면 외부와 오래 통화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예전에는 전화하다 걸리면 중국 돈 5천~1만 위안(元·북한 돈 63만~126만 원) 정도 주면 해결됐지만, 이제는 3, 4만 위안(북한 돈 378만~504만 원) 줘도 빠져나오기 힘들다”면서 “여긴 정말 총포성 없는 21세기 악마의 전쟁터 같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