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유관 7개 부처와 공동으로 27일 문화체육관광부 대강당에서 ‘2016 정부부처 협업기반 직업교육 포럼’을 개최했다. 미래창조과학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관세청, 산림청, 중소기업청, 특허청 관계자들과 사업에 참여하는 140여개 특성화고 교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은 2008년 5부 2청, 106개 학교로 시작돼 현재 8부 3청, 259개 학교로 확대 지원하고 있는 범부처 협력 사업이다. 부처에서는 인재양성에 필요한 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 등이 이뤄지도록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 예산을 지원한다. 교육과정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도 편성해 운영하며 교원 직무연수 등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방부는 일반군사교육, 군기술교육을 3학년 과정에 주 12시간 이상 편성케 하고, 해수부는 해기사, 양식기능사 자격 과정 운영을 지원하는 식이다.
이번 포럼은 2008년부터 정부부처가 소관 핵심 산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기능인재를 키우기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지원해 온 그동안의 현황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포럼에서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김기홍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학교는 ‘산학관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고졸 취업 연계’를 사업 추진의 최우선과제로 생각한다. 정부가 학교와 기업 간 취업경로지원 체제 구축, 노동시장 변화와 연계한 신규사업 개발 등 지원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선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산학일체형 도제교육, 기업맞춤반 운영 등으로 현장성이 강화되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육 트랜드를 소개했다. 김 연구위원은 “정부가 학교의 변화를 기업에 전파하고 고졸채용 동참을 유도해야 한다”며 “고졸취업자에 대한 근로보호 강화를 위한 기업 인식개선 연수 지원 등 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지원하는 정부부처 모여 '고졸 취업' 고심
입력 2016-05-2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