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복지부, 절박한 청년 호소에 등돌렸다...청년수당은 청년 권리”

입력 2016-05-26 18:59


박원순 서울시장은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복지부는 오늘 서울시가 3년 동안 청년들과
심사숙고한 논의결과를 ‘부동의’했습니다"라며 "청년의 절박한 호소에 등을 돌렸습니다.서울시는 복지부 결정에 동의할수 없습니다"라고 했다.

박 시장은 "오는 7월 시행될 정책에 대한 협의를 미루고 미루다 임박해서 내린 결론이 ‘부동의’라는 것에 참으로 청년들에게 부끄럽고, 미안합니다"라며 "지금 현장에서 만난 청년의 삶과 민생은 말로 옮기기 힘들만큼 어렵고 힘든 상황입니다"라고 했다.

박 시장은 "복지부 부동의 사유가 청년의 취업, 창업 활동과 연관성이 없는 활동지원이 있다는 것입니다. 도대체 취업, 창업에 도움이 되는 활동이 따로 있는 것인가요?"라고 했다.

이어 "절박한 현실의 청년들의 모든 활동은 취업과 창업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합니다"라며 "언제 어디서나 청년들은 취업과 창업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합니다"라고 했다.

그는 "취업과 창업활동만을 지원했다고 믿는 정부가 쓴 2조 1천억원의 결과는 무엇입니까?"라고 했따.

이어 "오늘도 저는 일자리 대장정 현장에 있었습니다. 한 시민이 ‘정부 정책은 목마르다고 바닷물을 마시라고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라고 했다.

이어 "현장과 정책의 괴리에 대한 정말 적절한 지적이었습니다. 정부가 권위적이고 통제만을 생각하는 시각으로 사업을 집행하면 할수록 국민의 일자리 민생 목마름만 더 키워가는 것은 아닌지반성해보아야 합니다"라고 했다.

박 시장은 "다른 결과를 원하면서 같은 방법을 반복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는 아인슈타인의 교훈을 되새겨봅니다"라고 했다.

그는 "국민의 불신과 통제의 대상이 아니라 언제든 창조적 활동을 하는 자발적 주체입니다. 여전히 국민을 믿지 못하고 통제해야될 대상으로 보는 권위적 행정에서 벗어나야 합니다"라며 "지금은 절차와 협의로 날을 새야 할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뭐라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지금 당장이라도 현장에서 만납시다"라고 했다.

"서울시는 이런 기대로 7월을 기다릴 청년과의 약속을 선택하겠습니다"라며 "지금이 후회로 남지 않도록 삶에 반응하는 행정, 반응하는 정치로 응답하겠습니다"라고 했다.

끝으로 "청년수당은 청년의 권리입니다"라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