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여자/여자/조선 여자/남자의 노예~.” 하얀 저고리와 검정 치마를 입은 소녀들이 어깨춤을 추며 창(唱)을 했다. 2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 대강당에서 열린 채플 시간에 공연된 이화 창립 130주년 기념 창극 ‘스크랜튼, 이화를 꿈꾸다(사진)’ 장면이다. 이화학당 설립자인 메리 스크랜튼(1832~1909) 선교사의 헌신과 당시 조선 여성의 암울한 현실을 국악과 한국무용으로 구성했다.
이날 채플은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 12:24)’는 성구를 주제로 한국 여성의 교육을 위해 헌신한 스크랜튼의 일생을 조명하고 그 삶을 묵상했다. 극은 먼저 삼종지도에 따라 평생 노예와 같은 삶을 살았던 조선 여성들의 현실을 조명했다. 이어 “너의 길을 가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이국으로 향하는 스크랜튼의 모습을 그렸다. 조선에 온 스크랜튼은 “아이를 잡아먹는 서양귀신”이라고 매도를 당하지만 고아를 데려다 교육을 시작하고 고종으로부터 ‘이화학당’ 사액현판을 하사받는다. 이로써 조선 여성들은 이화학당에서 꿈을 키워가게 된다. 대강당을 채운 학생 2000여 명 중에는 눈물을 흘리는 이들도 있었다.
25분 분량의 공연이 끝나자 갈채가 쏟아졌다. 학생들에게 소감을 물었다. 강은총(20·성악)씨는 “조선 여성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준 스크랜튼 여사에게 다시 감사한 마음을 가졌다”고 말했다. 김채윤(21·식품공학)씨는 “여러 장면에서 울컥했다”고 했다. 김학영(27·대학원 음악교육)씨는 “핍박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믿고 자기 길을 간 스크랜튼의 모습에서 큰 감동을 받았다”며 미소를 지었다.
히지만 학생들은 한국의 여권이 여전히 취약하다고 생각했다. 강씨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고 싶어도 여성은 가부장적 문화와 취약한 사회 제도에 가로 막힐 때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주빈(21·작곡)씨는 “앞으로 여성으로서 여러 가지 차별에 맞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이 많다”고 했다.
한국 교회 안의 여성 차별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전원(27·대학원 신학)씨는 “여권이 개선됐지만 여전히 무의식적으로 여성을 낮게 여긴다”며 “제가 속한 교단은 여성 안수를 주기 시작한 게 불과 몇 년 전이고 그나마 여성 목사에겐 차별이 많다”고 꼬집었다. 강씨는 “한국 교회에는 양성 평등적 관점을 가진 남성이 많지 않고, 교회 중직자 중 낮은 여성 비율이 현격히 낫다”며 “가부장제와 여성차별 문제에 대해 설교를 하지 않는 목회자가 가장 안타깝다”고 말했다.
창극 채플은 이화여대 교목실과 한국음악과가 공동 기획했다. 예술감독을 맡은 안현정 교수는 “한국 음악으로 복음을 표현하는 것이 한국민을 한국민답게 교육하고자 했던 스크랜튼의 정신”이라며 “이화국악앙상블이 반주하고 한국음악전공 학생들이 모든 배역을 소화했다”고 소개했다. 이화여대는 30일 오후 2시 대강당에서 130주년을 맞아 졸업생을 위한 ‘리마인드 채플’을 드린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여권 많이 개선됐지만..." 이화창립 130주년 창극 ‘스크랜튼'
입력 2016-05-26 18:23 수정 2016-05-26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