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이 버려지지 않는 날, 과학예술은 시작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가 과학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대변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돈까지 벌 수 있는 야외 체험 실험실을 열었다.
UNIST 도시환경공학부 조재원 교수팀은 대중과 직접 소통하는 실험공간인 ‘사이언스 월든 파빌리온(Science W밍두 Pavillion)’을 공개한다고 25일 밝혔다. 사이언스 월든 파빌리온은 1, 2층 포함해 122.25㎡(약 37평)의 육각형 구조로 지어졌고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해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주요 연구시설은 ‘윤동주 화장실’과 ‘미생물 에너지 생산시설’이다. 1층에 위치한 윤동주 화잘실은 물을 쓰지 않고 양변기 아래 설치된 건조기, 분쇄 기계장치 등이 인분을 가루로 만들고 미생물 에너지 생산시설에서 난방 연료 또는 바이오디젤로 바꿔준다. 조 교수는 “인분은 환경오염 등을 발생시켜 일상에서 버려지지만 운동주 화장실에서만큼은 에너지원으로써 활용가능하다”면서 “버려지는 인분마저 활용하기에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다고 외친 윤동주 시인의 순수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 ’윤동주 화장실‘이라 이름 지었다”고 말했다.
윤동주 화잘실에서 확보한 대변 분말을 수천종의 미생물들이 담긴 소화조에 넣으면 미생물들이 대변 분말을 분해해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낸다. 이를 고압력 또는 분리막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만을 따로 분리시킨 후 메탄가스는 난방 연료로 사용한다.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녹조류를 배양하는데 사용된다. 녹조류를 짜내면 식물성 기름 성분이 나오는데, 이를 화학처리하면 친환경 연료인 ‘바이오디젤’로 사용 가능하다.
대변 분말은 돈으로도 사용된다. 대변 분말의 양에 따라 가상 화폐인 ‘똥본위화폐(FSM)’를 지급해 돈처럼 쓸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 인분의 양을 계산해 해당하는 양만큼 돈의 가치를 알려주는 앱도 개발했다.
조 교수는 “사이언스월든 파빌리온은 과학자와 예술가의 연구 놀이터이다. 또 과학기술이 대중과 분리돼 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대중과 직접 만나 소통하고자 하는 과학예술 실험실”이라고 말했다.
이 야외 체험 실험실은 주중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시간내 언제든지 입장 가능하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똥이 돈이 되는 세상...인분을 에너지원으로 바꾸는 이색 '야외 체험 실험실'
입력 2016-05-25 16:31 수정 2016-05-25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