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25일 일제히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은 "반 총장의 출마는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바람직 하지 않다"며 "반 총장 출마 시 절반의 국민이 공격할 게 뻔하다"고 주장했다.
송 당선인은 "유엔 사무총장이 특정 국가의 대통령이 될 목적으로 (사무총장을) 했다면 누가 그를 공정한 사무총장으로 보겠나"라면서 "사무총장 자리를 이용했다는 비난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YTN 라디오에서 '유엔 관례에 따르면 전직 사무총장이 퇴임 후 정부 직을 맡으려면 4~5년 정도 지나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는 질문에 "유엔 결의문에 분명히 그런 내용이 있고, 그런 정신이 지켜지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박 시장은 "유엔 결의문이 있는 이유는 아마도 여러 국가의 비밀 정보들을 많이 알게 될 텐데 특정 국가의 공직자가 되면 그것을 활용하거나 악용할 가능성이 있어서 그런 결정문을 만든 걸로 본다"면서 "그래서 그것이 존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종인 더민주 대표는 "반 총장 본인이 원해서 (대선에) 출마해 국민이 뽑으면 될 수도 있다"라고 했다.
민병두 더민주 의원도 "반 총장은 친박 대통령 후보로 내정 돼 있다"며 "출마, 불출마 질문에 어정쩡한 스탠스를 취하면 5개월 동안 지지율만 까먹으니, 밖에서 머물면서 신비주의 스탠스를 취하고 안에서는 대망론을 불 지핀다는 시나리오"라고 했다.
김홍걸 더민주 국민통합위원장도 자신의 SNS에서 영국의 경제지 '이코노미스트'가 최근 발간한 기사에서 반 총장을 '실패한 총장이자 역대 최악의 총장 중 한명'이라고 혹평한 부분을 인용하면서, "해외에 나가서 뭔가 한 자리 하면 그것이 국위선양이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을 버릴 때가 됐다"고 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