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지역의 주택 재개발·재건축사업이 터덕거리고 있다. 주택 과잉공급과 조합 임원 선정 등 내부갈등, 주택경기 악화 등의 이유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전주지역 주택 재개발(21곳)·재건축(16곳)·도시환경정비사업(1곳)은 모두 38곳에 이르지만, 최근 4곳이 지정 해제를 신청해 취소됐다.
‘다가 재개발구역’은 주민 54%의 찬성을 얻어 스스로 사업을 접었다. 이 구역은 오래된 주택들을 헐고 다가동 일대에 1228가구의 아파트를 건설하기 위해 지난 2010년 정비구역 지정을 받아 조합설립을 추진했었다.
더불어 덕진구청 인근과 이동교 부근 재개발 구역도 각각 54%와 32%의 주민찬성으로 정비구역이 해제됐다. 재건축 사업이 추진됐던 인후동 신우아파트도 사업 추진을 철회했다.
이 같은 상황은 정비사업이 조합원 입주물량을 제외하고 대부분을 일반에게 분양해 얻은 수익금으로 정산을 하는 시스템이지만 경제 악화 등으로 사업 성공이 희박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이 시행된 2006년 이후 공사가 완료된 곳은 현재 삼천주공 2단지 재건축 아파트 한 곳 뿐이다.
남아 있는 33곳 가운데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은 곳은 22곳으로 7곳만이 시공사를 선정했다. 7곳 중 2곳은 사업시행 인가를 받았고, 2곳은 착공과 분양을 실시했다.
그러나 나머지 구역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주택 과잉공급 우려와 주택담보 대출 규제와 같은 주택건설사업의 악재가 잇따르면서 앞으로 정비사업 해제 구역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주시는 성과 없는 정비구역에 대해서는 주민들의 동의율을 높여 사업을 해제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정비사업이 추진되면서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 규모의 예비 설계비용과 조합 운영비를 정비회사나 시공사에게 빌려 쓴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앞으로 이 비용의 정산 문제가 물위로 떠오를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주지역 재개발·재건축사업 '터덕'
입력 2016-05-25 1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