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교통카드 사용 내역을 빅데이터로 구축한다

입력 2016-05-25 11:00
정부가 교통카드 사용 내역을 빅데이터로 구축해 활용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국토교통부는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대중교통 요금을 지불할 때 생성되는 1일 2100만 건의 교통카드 전산자료를 활용하는 내용의 ‘교통카드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1단계 구축사업을 26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교통카드 자료를 수집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있었는데도 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가 없었다. 또 교통카드 정산사업자(한국스마트카드, 이비카드, 코레일 등 8개사)에 따라 정보 체계가 달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 말 국회에서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교통카드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말까지 진행될 예정인 ‘교통카드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중 올해에는 1개 교통카드 정산사업자를 대상으로 1단계 사업을 추진하여 시스템 표준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2017년에 전체 정산사업자로 확대하여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교통카드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을 활용하면 기존에 우리나라 전체 대중교통 9000여 개 노선에 대한 수요 조사비용을 약 97% 절감(9억5000만원→ 4700만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요청 시 결과 제공까지 걸리던 기간도 기존 45일~ 90일에서 10일 이내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