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수능 한국사필수 대비 역사교사 역량 기른다

입력 2016-05-25 08:52

교육부는 초·중등학교의 역사 수업을 재미있고 생동감 있게 개선하기 위해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역사교원 역량강화 사업 계획’을 마련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치르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가 필수화되는 등 역사교육이 강화되고 주변국의 역사왜곡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교육부는 사업 분야에 따라 서울, 대전, 충북, 경남교육청 등 4개 시·도교육청을 주축으로 역사교육 우수수업사례공모·확산, 현장답사단운영, 교원연구활동지원, 교원연수 등을 전국에서 추진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서울교육청이 주도하는 역사교육 우수수업사례 공모전은 계획 단계에서 70개팀을 뽑아 연수·컨설팅을 제공하고 최종 우수사업사례 30팁을 뽑아 국외 현장답사 등의 기회를 제공한다. 충북교육청은 국내 30개팀, 국외 35개팀 등 총 65개팀을 뽑아 현장답사를 진행하고 수집한 자료를 자료집으로 펴내 학교에 보급하는 사업을 맡는다. 대전교육청은 초등 11개, 중등 19개 총 30개 역사교과연구회를 만들어 연수와 컨설팅을 지원하고 경남교육청은 680여명 안팎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사, 동아시아사, 독도, 한국학 등에 대한 역량 강화 연수를 진행한다.

사업의 성과는 각 사업별 발표회 및 자료전시와 현장보급 등을 거쳐 학교 현장에 공유되도록 할 예정이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