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축제 유료화와 관련, ‘야외축제’는 ‘원칙적 무료화’하는 등 기준을 제시하고 나섰다.
경남도는 최근 지역축제를 단순한 경제논리로 접근해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대해 ‘지역대표축제 유료화 기준’을 시·군에 권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산과 강 등 자연자원과 역사·문화 자원 등은 ‘공공재’에 해당해 모든 국민이 향유할 권리가 있는 만큼 ‘야외에서 개최하는 축제’는 ‘원칙적으로 무료’로 운영토록 권고했다.
그러나 특정인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체험프로그램과 실내에서 개최하는 ‘실내축제’는 ‘선별적인 유료화를 검토’ 하도록 권고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야외축제 무료화 권고 이유로 지역대표축제는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들이 함께 즐기는 잔치로 지역민에게는 소통과 화합의 장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문화향유 기회와 관광객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투자이므로 축제에 참여하는 누구나 별도의 비용 없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역축제는 단순한 경제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유무형의 파생효과를 창출한다며 축제가 지역민들은 자긍심과 일체감을 관광객들은 행복한 추억을 기억해 다시 찾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반면 유사하고 경쟁력을 상실한 축제는 통·폐합을 지속 추진해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발굴·운영하는 등 최근 3년간 70여개의 지역축제를 44개로 줄여 42억원의 경비절감 효과를 거뒀다.
도 관계자는 “최근 지역축제 유료화를 둘러싼 지자체와 도민 간 반목과 논란을 이번 권고안으로 불식시키고 지역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지역대표축제 유료화 기준 권고
입력 2016-05-24 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