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 불안이 극대화된 가운데 환경부가 생활화학제품에 함유된 살생물질의 사용실태 전수조사와 안전성 검증에 착수한다. 환경부는 생활 속에 밀접하게 사용되면서도 위해우려가 높은 제품부터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 전수조사를 시작해 내년 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또 다음달 내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해 화학제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우선 상반기 중에는 환경부가 지정해 관리하는 15종의 위해우려제품을 제조·수입하는 8000여개 기업으로부터 제품 내 함유된 살생물질 종류 등을 제출받을 방침이다. 이를 목록화한 뒤 하반기부터 여러 제품에 사용되거나 위해우려가 높은 물질부터 우선적으로 위해성 평가를 진행한다. 제품의 사용빈도나 노출경로 등을 고려한 단계적인 평가다.
특히 논란이 되는 스프레이형 방향제, 탈취제 등의 위해우려제품도 면밀히 들여다본다. 주요 제조·수입기업과 안전관리 협약을 체결해 하반기 중 유·위해성 자료를 제출받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자발적 참여 의사를 가지고 협약에 참여한 20~30개 업체에 대해서는 전 성분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 참여하지 않은 업체의 경우 살생물질만 확인한다.
내년부터는 에어컨·공기청정기 항균필터 등 화평법상 위해우려제품으로 관리되지 않는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공산품과 전기용품, 사업장에서 이용되는 살생물제품으로 조사 범위를 넓힌다. 대형매장, 온라인 마켓 등에서 팔리는 생활화학제품 중 위해우려제품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살생물질 함유가 의심되는 품목을 조사하고 해당 제조·수입업체에 살생물질 정보를 요구할 방침이다.
제품에 직접 함유돼 있진 않지만 제품의 용기, 포장 등에 이용되는 살생물질에 대한 이용실태도 파악한다. 조사 과정에서 중대한 위해성이 의심되면 평가가 끝나지 않았더라도 위해우려제품에 포함하거나 안전관리기준을 새로 정해 국민 불안을 덜기로 했다.
환경부는 25일 오전 10시30분 서울 용산구 서울역 LW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생활화학제품 내 살생물질 전수조사와 안전성 검증을 위한 설명회’를 열고 LG생활건강 등 80여개 생활화학제품 주요 생산·수입 업체와 이마트 등 10여개 유통사에게 관련 내용을 설명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모기약처럼 식품의약안전처 등 타 부처가 관리하는 물품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성 검사에 대해서는 관계 부처와 논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환경부,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 전수조사 착수…내년까지 마무리
입력 2016-05-24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