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건축물에서 간판 역할을 한 ‘한국의 편액(扁額)’이 아태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가 결정됐다.
19일 경북도에 따르면 베트남 후에 시에서 열린 제7차 유네스코 아태기록유산위원회(MOWCAP) 총회에서 한국국학진흥원이 신청한 한국의 편액이 아태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가 결정됐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영남지역 189개 문중·서원에서 기탁한 550점의 편액을 지난해 10월 유네스코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했다.
편액은 유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동양의 전통 인문정신과 글씨의 예술적 가치가 동시에 포함된 상징물로서의 의의를 인정받아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가 확정됐다.
이에 따라 편액은 한국의 첫 번째 아·태기록유산이 됐으며 세계유산인 유교책판에 이어 한국 기록문화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해외에 홍보하는 계기를 만들게 됐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550점의 편액은 건물의 건축 목적에 따라 주거공간(137점), 추모공간(64점), 교육공간(231점), 수양공간(118점)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16세기~20세기 초에 제작된 것들로 이뤄져 있다.
도는 한국국학진흥원과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인 ‘유교책판’의 추가 등재를 위해 지속적으로 기탁을 받고 있으며 편액 또한 곧바로 추가 등재를 준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는 한국의 전통산사와 가야고분군 등을 문화재청 잠정목록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조선태실, 팔공산 석조불상군, 종가문화 등도 세계유산 및 세계무형문화유산 문화재청 잠정목록에 등재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경북도 전화식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도내 문화유산의 명품·세계화 추진과 경북의 우수한 문화유산의 국제적 공인으로 문화융성을 선도할 것”이라며 “도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한국의 편액(扁額)' 550점 아태기록유산 최종 등재
입력 2016-05-19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