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고용노동부가 저성과자 해고와 성과 중심의 인력운영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공정인사 지침을 발표한 후 기업 10곳 중 7곳(78.3%)은 지침 도입을 검토하고 있거나 구체적 반영 계획을 수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전국 162개 기업을 대상으로 ‘공정인사 지침에 대한 기업 인식 및 대응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대상의 78.3%는 공정인사 지침 발표 후 인력운영제도를 지침에 따라 개편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응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가운데 ‘지침 내용 또는 적용 여부를 검토 중’이라는 응답이 62.3%였고, ‘인력운영방안 개편을 위한 내부 논의가 진행 중’인 곳이 11.4%, ‘지침의 구체적 반영을 위한 계획을 수립 중’이 4.9%였다. 대기업은 ‘개편 내부 논의중’(14.5%)의 응답 비중이 중소기업(11.5%)보다 높았다.
공정인사 지침 도입 시 어려움으로 대기업(58.1%)은 ‘노조 반대’를 주로 지적한데 비해 중소기업은 ‘인사평가모델 부재’(40.5%)와 ‘재교육·배치전환 여건 부재’(39.2%), ‘인사노무 관리 역량 부족’(35.1%)을 꼽았다. 지침에 따라 인사제도를 개선할 경우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평가’(53.1%), ‘퇴직관리’(45.7%), ‘임금 등 보상’(37.0%)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대기업(62.9%)은 ‘퇴직관리’(62.9%)에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반면 300인 미만 중소·영세기업은 퇴직관리보다는 ‘평가’(58.1%), ‘임금 등 보상’(44.6%)에 고충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경총 관계자는 “대부분의 기업이 공정인사 지침의 취지와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평가방식 개선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업특성에 맞는 인사평가 모델 개발 및 중소?영세기업 컨설팅 등 지침 안착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기업 10곳 중 7곳, 저성과자 해고 가능한 '공정인사 지침' 적용 검토·구상 중
입력 2016-05-18 1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