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출자·출연기관들이 잇따라 각종 비리 의혹으로 도마에 오르고 있다. 대구시가 산하기관 감시·감독에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18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시 출자기관 엑스코(EXCO)가 회계 부정 의혹으로 수사기관의 수사 선상에 올랐다. 특정 행사를 개최한 뒤 행사 업체에 수익금을 덜 주기 위해 16억원의 매출을 누락했다는 것이다.
한국패션산업연구원도 용역 입찰비리 의혹으로 구설에 올랐다.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경실련)은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회계 규정을 어기고 전기안전관리 용역 업체를 무입찰로 선정하고, 1순위 입찰 업체 대신 2순위 업체를 사업자로 선정했다며 대구시에 감사를 요구했다.
대구테크노파크도 지난달 정규직 공개 채용 합격자 15명 중 절반이 넘는 8명이 현재 근무 중인 계약직 직원들이라 공정성 논란에 휩싸였다. 대구테크노파크에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서 이 같은 오해를 받게 됐다.
대구시는 엑스코 등에 대해 감사를 벌여 비리 등이 확인되면 징계할 방침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들 출자·출연기관들의 추문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문제가 된 기관들 역시 이전에 비리 등의 문제로 거센 비판을 받은 전력이 있는 곳들이다.
엑스코는 2009년 업무추진비 부당 사용, 2012년 확장공사 비리 등으로 요주의 기관이 됐다. 한국패션산업연구원도 앞서 원장의 직원 폭행 논란으로 문제가 됐다. 대구테크노파크 역시 업체 리베이트, 공금 횡령, 정·관계 뇌물 의혹 등으로 ‘비리 백화점’이란 오명을 얻었다.
대구시는 매번 일이 불거질 때마다 감사를 벌이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비슷한 문제가 되풀이 되고 있다. 대구시가 출자·출연기관의 관리·감독에 손을 놓고 있고, 비위가 드러나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친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기관들의 비리 문제가 조직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다”며 “대구시가 나서 구조적인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시 출자·출연기관 관리 감독 엉망, 각종 비리 의혹 잇따라
입력 2016-05-18 09:07 수정 2016-05-18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