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압박하는 중국... 진짜 이유는?

입력 2016-05-17 17:01 수정 2016-05-17 17:02
ⓒ국민일보

중국 정부가 애플 등 미국 정보기술(IT) 기업을 옥죄고 있다. 국가 및 개인 보안에 잠재적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로 인해 이미 디지털 보안을 두고 긴장관계에 있는 미국과 새로운 갈등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16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애플 등 미국 IT 기업 관계자를 익명으로 소환해 제품 암호해독이나 데이터 저장 방식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당사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이번 조사는 인터넷 및 기술 관련 부처인 ‘중앙망신판’ 주도로 일반 대중에게 시판되는 제품에 전방위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서구 국가에서 군이나 정부에서 사용할 제품에 한해 보안 조사가 이뤄지는 걸 고려하면 구별되는 대목이다.

 중국 매체 ‘신경보쾌신’이 지난 1월 보도한 바에 따르면 조사가 시작된 것은 지난해다. 중국 정부는 이미 2013년 전 미 중앙정보국(CIA) 기술자 에드워드 스노든이 CIA의 타국 도청의혹을 폭로한 뒤부터 이 같은 조사 가능성을 내비쳐왔다. NYT는 담당 부서인 중앙망신판이 “이번 조사가 다른 국가에서 시행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며 특정 국가나 기업을 겨냥한 게 아니다”라고 팩스를 통해 답해왔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가 조사를 공식화 하지 않아 미국이 정부차원에서 대응하기도 어렵다. 미국 정부와 IT 업체들은 중국 정부가 아무 설명 없이 제품 판매를 금지시키거나 주요 기술 사안을 중국 내 경쟁업체에 흘릴까 경계하고 있다. 해당 제품 해킹을 통해 타국의 주요 정보를 빼내려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조사가 다른 국가에 선례가 될 것도 문제다.

 우려에도 불구하고 애플, 시스코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된 조사대상으로 알려진 기업들은 조사 내용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자칫 중국 정부와의 관계를 망칠 경우 이미 매출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을 잃어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애플이 최근 ‘중국판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滴滴出行)에 10억 달러(약 1조7000억원)를 투자한 것도 중국 정부와 우호적인 관계를 쌓으려는 이유에서다.

중국이 이처럼 미국 IT기업에 보안 조사를 실시하는 이유는 ‘불안감’ 때문이다. NYT는 중국전자표준화협회(CESI)가 발표한 자료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타국보다 뒤쳐진 IT기술 때문에 체제가 공격받을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려고 이 같은 조치를 내렸다고 분석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