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노조는 17일 “원·하청 노조, 사무직 노조와 함께 대책기구를 구성해 회사의 구조조정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노조는 이날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공업에서만 지난해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8490명의 사내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퇴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회사는 현재 과장급 이상 사무직에 대해 희망퇴직을 기존 15일에서 20일 까지 연장해 실시하고 있다.
노조는 “조선산업 위기의 본질은 정부의 정책 부재와 해양 플랜트부분의 수익성 없는 수주 등 경영진의 무능”이라며 질책했다. 이어 “정부는 노동자의 희생만 강요하는 구조조정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새로운 정책과 고용안정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회사 실질 경영주는 경영 개선을 위해 사재를 출연하고, 정부는 조건 없이 조선산업특별고용지원법 등의 조선산업 정책과 고용안정 대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어 오는 19일 국회를 찾아 ‘대량해고 반대, 조선업 강화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는 국회 기자회견을 연다.
현대중 관계자는 이에 대해 “수주 급감에 따른 일감 부족 상황에서 회사 생존을 위해 간부급 직원을 대상으로 불가피하게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있다”며 “회사는 지난 4월 임원 25%를 감축하고 조직을 축소하는 등 경영 합리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비 핵심 자산의 매각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현대중공업 노조, 원하청 노조와 구조조정 공동 대응
입력 2016-05-17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