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가스·발전 등 에너지 분야와 교통 인프라 건설 등 67억 달러(약 7조9000억원)에 달하는 현지 시장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인도네시아 양국은 16일 박근혜 대통령과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에너지·교통 분야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등 11건을 체결했다.
양국 정부는 이를 통해 향후 인도네시아의 장기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추진하는 발전사업(40억 달러)과 가스사업(6억 달러), 인프라 구축 차원의 경전철 사업(21억 달러) 등에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인도네시아 발전사업은 숨셀 및 테보 석탄화력발전사업, 칠레본 2호기 석탄화력발전사업 등 총 40억 달러 규모다. 청와대 관계자는 “총 40억 달러에 달하는 인도네시아 발전프로젝트에 우리 기업의 수주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철도시설공단과 자카프로(자카르타 자산관리공사) 간에 자카르타 도심부의 20㎞ 구간 내 경전철(LRT) 건설사업 협력도 이뤄진다. 자카르타 경전철 사업은 2018년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개초를 앞두고 현지정부가 교통인프라 확대 차원에서 추진 중인 사업이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조코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10주년을 평가하고, 신성장동력에 중점을 둔 경제협력을 더욱 활성화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진 중인 인프라 사업에 우리 기업의 참여 확대를 요청했으며,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또 해양산업·창조산업 등 신성장 분야에 대한 협력과 함께 북핵 등 한반도 문제를 비롯한 지역 현안에 대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조코위 대통령의 국빈 방한은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의 경제강국이자 아세안의 핵심 국가로, 우리나라와는 중견국 협의체인 믹타(MIKTA)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67억달러 인도네시아 시장에 우리기업 진출 토대 마련
입력 2016-05-16 1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