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위원장에 비박(비박근혜)계 3선 김용태 의원이 선임됐다. 4·13 총선 참패로 원내 제2당으로 전락한 무기력한 집권여당을 재건할 임무를 부여받은 김 의원은 일성으로 “뼛속까지 모든 것을 바꾸는 혁신”을 다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15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들의 떠나간 마음을 되찾고 신뢰를 되찾는 일이야 말로 혁신위의 목표가 돼야한다”며 “그 일을 앞장설 사람으로 당의 젊은 피 김 의원이 적임자”라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김 의원은 “패배 순간보다 지난 한 달간이 더 참담했다. 지난 한 달간 국민들은 새누리당에 매를 쳤고 ‘너희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아느냐’고 물었지만 당은 얼토당토않은 대답을 하며 딴청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든 것을 내려놓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국민 속에서 국민의 눈으로 혁신하도록 하겠다”며 “마지막 기회로 생각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뼛속까지 모든 것을 바꾸는 혁신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선거 패배 원인을 제공한 계파갈등을 근본적으로 고칠 수 있는 방법도 생각하겠다”고 덧붙였다.
충남 대전 출신으로 서울 양천을에서 3선에 성공한 김 의원은 2004년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이 대권을 모색할 무렵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의 추천으로 캠프에 합류, 정치권과 인연을 맺었다.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직하고 김 의원이 혁신위원장에 선임됨에 따라 새누리당은 차기 지도부 선출 전까지 충청권 출신 ‘투 톱’ 체제로 운영될 전망이다.
그동안 혁신위원장 인선은 김황식 전 국무총리,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거론됐던 인사들이 고사하면서 난항을 겪었다. 특히 비대위와 쇄신 기구를 분리, ‘무늬만 혁신위’라는 비판이 일고, “친박(친박근혜)계 의도대로 당이 흘러간다”는 관측까지 제기되자 정 원내대표가 개혁 성향 비박계 의원을 기용하는 ‘파격’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 원내대표는 아울러 혁신안을 다음 지도부가 지키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당 쇄신 활동과 관련한 사실상의 전권을 부여하기 위해 관련 당헌을 개정하기로 했다. 혁신위가 당 쇄신안을 반영해 마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비대위를 거치지 않고 자체 의결만으로 바로 상임 전국위와 전국위 소집을 요구해 의결할 수 있도록 했다. 소속 의원들의 반발을 살 수 있는 급여 삭감, 불체포특권 폐지 등 국회의원 기득권 포기를 내용으로 하는 법률개정안 등도 의원총회 의결 없이 바로 당론으로 채택할 방침이다.
다만 혁신위가 오는 8월 20일 전후 치러질 전당대회까지 3개월 동안 곳곳에 널린 암초를 피해 제대로 된 쇄신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하다. 당 안팎에선 당 쇄신 작업 과정에서 불거질 총선참패 책임론과 ‘친박 2선 후퇴론’에 당권 장악을 노리는 친박계가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누그러뜨릴지가 쇄신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현행 집단지도체제 및 당권·대권 분리 규정과 관련해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 비대위 명단도 발표했다. 정 원내대표 등 당연직을 제외하고 3선 김세연·김영우·이진복·홍일표 의원과 재선인 한기호 의원, 이혜훈 3선 당선인, 정운천 초선 당선인 등이 비대위원에 내정됐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김용태 혁신위원장 "뼛 속까지 바꾸겠다", 정진석과 함께 당 투톱에 충청 출신
입력 2016-05-15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