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도쿄 하계올림픽 유치과정에서 일본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측에 거액을 송금한 사실이 포착돼 프랑스 검찰이 수사에 나선 것과 관련해 일본이 공식 해명에 나섰다. 뇌물은 아니었고, 자문료였다는 설명을 내놓았지만 합법적 자문료를 왜 비밀계좌로 송금했는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 많다.
앞서 외신들은 도쿄올림픽 유치 활동을 담당했던 팀에서 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되던 2013년 9월쯤 라민 디악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전 회장의 아들 파파 마사타 디악 측에게 130만 유로(약 17억3000만원)를 보낸 의혹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돈은 파파 마사타 디악 측근의 싱가포르 비밀 은행계좌 ‘블랙 타이딩스’로 송금됐다.
이에 대해 유치위원회 이사장을 지낸 일본올림픽위원회(JOC) 다케다 츠네카즈 회장은 13일 성명을 발표하고 “지불한 돈은 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컨설팅을 해준 대가였으며 공식적인 업무 계약에 따른 지불이었다”고 주장했다고 NHK방송이 보도했다.
다케다 회장은 구체적으로 유치계획 수립, 프리젠테이션 지도, 유치활동의 업무 위탁 대가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뒷돈이 있을리 없다”면서 “합법적인 돈이며 투표의 대가로 돈을 지불했다는 뉴스를 듣고 깜짝 놀랐다”고 덧붙였다.
NHK는 일본 유치위원회가 쓴 돈은 2011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2년 간 89억엔(960억원)이라고 전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