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자본확충펀드도 한 대안일 뿐…금리동결은 만장일치”

입력 2016-05-13 12:34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은 본점에서 5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기준금리는 연 1.50% 동결을 결정했고, 국책은행 자본확충 방안은 펀드를 포함해 더 논의해 봐야 한다고 했다. 표정은 밝지만 흰 머리카락이 조금 늘었다. 서영희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구조조정을 담당할 국책은행 자본확충 방안과 관련 “자본확충펀드도 하나의 대안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의) 협의체 합의 내용을 기다려 달라”라고 말하며 한은의 구체적 입장 표명은 연기했다.

이 총재는 이날 5월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고 난 뒤 가진 간담회에서 “손실 최소화 원칙은 중앙은행의 기본 원칙”이라며 “자본확충펀드 이외에도 이 원칙에 부합하는 대안이 있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은이 박근혜정부의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드라이브와 관련 발권력을 어떤 방식으로 동원해 국책은행에 돈을 대줄지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 것이다.

이 총재는 “만약 자본확충펀드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규모가 어떻게 될지는 국책은행이 보유한 여신의 건전성과 자기자본비율 등 여러 시나리오에 따라 평가하고 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협의체가) 지난주에 처음 시작했다”라며 논의를 더 해봐야 안다라는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자본확충펀드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한은이 국책은행에 특별 대출을 해주고 국책은행이 다시 시중은행에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정작 자금을 지원받는 시중은행은 열에 둘 셋에 그쳤다. 자금 지원받았다는 사실 만으로 부실 은행으로 찍혀 시장 평가가 하락할 것을 우려한 탓이다.

이 총재는 현재 연 1.50%의 기준금리에 대해서도 “실물경제를 지원하는데 부족하지 않다”라는 의견을 표명했다. 그는 또 “기준금리 동결 결정은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이뤄졌다”라고 공개했다.

[관련기사 보기]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