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 모범 보여야할 국회와 교육청, 대기업 등 대거 '장애인 고용 저조' 명단 올라

입력 2016-05-12 11:56
포스코와 동부그룹 등 일부 대기업이 여전히 장애인 고용에 인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적 영역에서도 국회와 8개 교육청 등이 10회 연속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6월 기준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히 낮은 국가·자치단체 9곳과 공공기관 20곳, 민간기업 604곳 등 633곳의 명단을 12일 발표했다.

국가·자치단체는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1.8% 미만이거나 비공무원 장애인 근로자 고용률이 1.3% 미만인 경우,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 민간기업은 1.35% 미만인 경우 공표대상이 된다.

이번에 공표된 기관들은 고용부가 장애인 고용저조기관 1084곳을 선정해 알린 뒤 계도기간에도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지 않은 기관들이다.

기업 규모가 큰 대기업들의 장애인 고용 외면은 더욱 심각했다. 30대 그룹 중 24개 그룹의 계열사 64곳이 포함됐다. 현대자동차, 한화, 삼성, 두산, 에쓰오일, 동국제강 등 6개 그룹은 공표 대상에 오르지 않았다. 가장 많은 계열사가 포함된 그룹은 포스코로 7개 계열사가 저조 기업으로 꼽혔고, 동부는 5곳, GS·현대중공업·한진·신세계·CJ·금호아시아나가 각 4곳 등 포함됐다. LG그룹 계열사인 실리콘윅스와 포스코의 대우인터내셔널 등 2곳은 장애인을 한명도 고용하지 않았다.

공공부문에서도 국회와 8개 교육청이 또다시 장애인 저조 공표 대상에 올랐다. 국회와 서울·부산·대구·인천·경기·충남교육청은 10회 연속 명단에 올랐다.

장애인 고용을 선도해야 할 공공부문에서도 국회와 8개 교육청 등 모두 9곳이 명단에 포함됐다. 국회와 서울·부산·대구·인천·경기·충남교육청은 10번째나 공표 명단에 올랐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39.9%), 건설업(28.7%), 금융·보험업(26.4%) 등의 비중이 크게 높았다. 특히 금융·보험업에서는 장애인 고용률이 1% 미달한 경우가 79.5%에 달했다.

문기섭 고용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30대 그룹, 교육청, 금융업종 등 이른바 ‘좋은 일자리’ 사업장들이 명단에 대거 포함된 것은 장애인 고용에 대한 무관심이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명단 연속 포함 기관에 대한 장애인 채용계획 이행 권고 등으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장애인 고용 저조기관 명단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홈페이지(www.kead.or.kr), 관보 등에서 볼 수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