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청사 진입 게이트에 얼굴인식시스템이 도입돼 등록된 사진과 출입자의 얼굴이 다르면 출입이 자동 차단된다. 또 청사 울타리 동작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지능형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 구축되는 등 정부청사 보안 시스템이 대폭 강화된다.
행정자치부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정부청사 보안강화대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월 7급 공무원시험 응시생이 정부서울청사를 무단침입해 합격자 명단을 조작한 사건이 발생한 후 김성렬 행자부 차관을 단장으로 TF를 구성해 운영한 끝에 마련한 대책이다.
정부는 올 하반기 세종·서울·과천·대전 등 4대 정부청사 건물 진입 스피드스케이트에 얼굴인식시스템이 설치된다. 청주공항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 시스템은 등록된 사진과 출입자의 얼굴이 일치하지 않으면 출입문이 자동으로 차단되고 경고음이 울린다.
청사 울타리에는 동작감시센서를 설치해 담장을 넘어 침입할 경우 경보음이 울리고 상황실에 곧바로 전파된다. 현재는 세종청사에만 이 센서가 설치돼 있다. 서울·과천·대전청사의 10년 이상된 저화질 CCTV도 단계적으로 모두 고화질로 교체하고 무단 침입 등 이상 발생 시 상황실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지능형 통합상황관리시스템이 구축된다.
정부는 또 방문 목적에 따라 출입증 색상을 달리해 사전 예약된 구역 외에는 출입을 제한할 계획이다. 시험관리실, 전산실 등 특별 보안구역에는 생체인식, 스크린도어 등 강화된 출입통제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공무원증 관리도 강화할 방침이다. 공무원증을 분실하고도 신고를 지연하거나 공무원증을 빌려주는 공무원에 대해서는 징계를 요구할 수 있도록 관련 규칙을 상반기에 개정할 계획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정부청사 출입에 얼굴인식시스템 도입…보안 강화대책 발표
입력 2016-05-12 11:05 수정 2016-05-12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