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경기지사는 11일 도의회 도정 답변에서 조기등판론과 관련해 "그럴 일 없을 것 같다"며 "도정을 책임감 있게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연정'과 관련해서도 "시대적인 대세이고 흐름"이라며 "극단적인 주장을 펴는 후보가 유력 정당의 주자가 된 미국 보다는 우리처럼 분단 상황을 겪은 독일을 비롯해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등의 정치 체제를 배워 '한국형 연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도 지속 가능한 연정을 만들 수 있다. 우리의 체제도 수출할 수 있게 도와 도의회가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2월 누리과정(만3~5세 무상보육) 문제를 둘러싸고 도의회 새누리당이 본회의장 단상을 점거한 것이 민주적으로 정당했느냐는 질의에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남 지사는 "본회의장 단상 점거를 한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수고한다'는 격려성 문자를 보냈는가"라는 질의에도 "아니다(보낸 적 없다). 보좌진이 보냈는지는 확인해 보겠다"고 했다.
그는 다만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데 새누리당 의원들의 단상 점거가 옳지 않았고 왜 점거하게 됐는지 발단도 문제가 있다. 어느 한쪽 책임이라기보다는 여·야가 함께 책임을 느끼고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지방재정개혁 방안과 관련해서는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하향평준화이다. 소탐대실의 정책"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남 지사는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구체적인 내용과 진행 형식을 보면 문제가 있다"면서 "내용을 보면 새로운 재원 마련 없이 하향평준화하는 안이다. 이는 파이를 늘려 상향평준화한다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방침과도 맞지 않는다"라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