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구조조정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무구조 개선보다 사업구조조정으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금융연구원 구정한·김석기 연구원은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산업구조의 변화와 효율적 기업구조조정 체제의 모색’ 토론회에서 “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단순히 기업의 재무상태 변화만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의 사업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며 “경쟁력이 없는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가능성이 보이는 새로운 사업은 적극 추진하는 등의 사업구조조정이 강조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두 연구원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7년부터 기업구조조정에 들어간 기업(워크아웃 74개사, 법정관리 247개사)들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시작 전 3년간의 재무제표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을 기준으로 이전부터 기업구조조정을 시작한 기업들은 51.8%가 성공한 반면, 2008년 이후 구조조정을 시작한 기업들은 성공 비중이 32.4%로 내려앉았다.
또 구조조정이 성공할 확률에 매출액 영업이익율과 같은 사업성 변수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무상태와 관련있는 변수들은 성공확률에 연관성이 크지 않았다. 이미 재무상태가 열악한 상황에서 구조조정을 시작한 기업들에게 재무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조선·해운업 구조조정의 경우에도 정부와 국책은행이 산업경쟁력에 대한 밑그림 없이 구조조정 재원 마련에만 골몰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의 오승환 파트너도 개별기업의 자구노력과 함께 정부의 산업경쟁력 제고방안을 촉구했다. 그는 “조선 3사의 경우 인건비가 낮은 협력사를 활용해 능률이 낮은 직영 생산인력을 감축하는 등의 인적자산 운영모델을 개선하고, 어려운 업황을 타개할 수 있는 사업모델 혁신이 필요하다”며 “산업구조 차원의 접근이 미흡하면 개별기업의 피로도가 늘어나기 때문에 산업차원의 경쟁력 강화방안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기업구조조정, 재무구조 개선보다 사업구조조정으로 경쟁력 높여야
입력 2016-05-11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