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콘서트홀이 10일 D-100일을 맞았다. 하지만 티켓 판매는 물론이고 아직 홈페이지도 열지 못하고 있는데다 ‘베이스 연광철 스페셜 갈라’(9월 2일) 등 일부 공연은 취소된 것으로 드러나 클래식계의 우려를 사고 있다.
오는 8월 18일 개관하는 롯데콘서트홀은 서울에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이후 28년 만에 문을 여는 대형 클래식 전용홀(2036석)이다. 원래 지난해 9월 개관할 예정이었으나 공사 중 사고로 인한 공기 지연 등으로 1년 미뤄졌는데도 아직 준비가 부족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개관을 앞두고 7개월전인 지난 1월 언론에 공연장 내부 및 개관 페스티벌 프로그램을 공개했을 때만 하더라도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이다.
롯데콘서트홀 관계자는 9일 “개관을 앞두고 진행이 다소 늦어진 면이 있다. 홈페이지는 빠르면 수일 내 오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마무리 테스트 작업중이다”면서 “홈페이지가 오픈되면 매표 시스템에 대한 테스트를 거쳐 6월초 정도엔 관객이 티켓을 구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사실 롯데콘서트홀 안팎에서는 “지난해 공사 지연으로 올해 개관하게 된 것이 차라리 다행이었다”는 말까지 나왔었다. 개관 연기에 따라 예정됐던 공연들을 취소해야 했지만 당시 개관 준비가 부족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1년이 지난 상황에서도 여전히 개관 준비에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대기업이 운영하는 또다른 공연장인 LG아트센터의 2000년 개관과 비교해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당시 LG아트센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연장 자체 매표 시스템을 개발하고 패키지 티켓을 판매했는데도 4개월 전에 이미 준비를 완료했었다.
롯데콘서트홀이 이런 상황이 된 데는 지난 3월 김의준 전 대표의 사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공연계의 신망이 두터웠던 김 전 대표는 롯데콘서트홀의 운영방향을 놓고 경영진과 갈등을 겪다 사임했고, 이후 개관 준비를 하던 직원들 여러 명이 사표를 내고 떠났다. 한국 출신의 세계적인 베이스 연광철의 공연 취소도 이와 관련이 있다는 후문이다.
한광규 신임 대표의 경우 광고계 출신이다보니 공연계의 제반 시스템을 모르는 만큼 개관 준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홈페이지 오픈 및 티켓 판매도 늦어지고 있지만 개관 프로그램 가운데 해외 초청 공연과 달리 직접 제작하는 공연은 진행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서울시향, 혼성합창단, 어린이합창단, 오르간이 어울어져 작곡가 진은숙의 창작곡을 세계 초연하는 개관 공연(8월 18~19일)이나 1030명의 연주자와 합창단이 연주하는 말러 ‘천인교향곡’ 초연 재현 공연(8월 25, 27일)은 준비가 만만치 않기 때문에 롯데콘서트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천인교향곡’ 공연은 코리아심포니 오케스트라와 20개의 전국 성인 및 어린이합창단이 출연해야 하기 때문에 연습 일정을 짜는 것조차 쉽지 않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는 공연 직전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롯데콘서트홀이 주도적으로 이끌지 못하고 있어서 참가 단체들이 오히려 걱정하는 상황이다. 롯데콘서트홀 관계자는 “저희가 최근 진행이 좀 안돼서 주변에서 많이 궁금해 하시는 것 같다. 곧 진행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롯데콘서트홀이 안팎의 우려를 불식하고 화려한 개관 페스티벌을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단독] 롯데콘서트홀 개관 D-100, 준비부족과 일부 공연 취소 드러나
입력 2016-05-10 16:28 수정 2016-05-10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