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당직 개편 키워드는? '탕평 원칙'과 '원외 인사 중용'

입력 2016-05-06 18:29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와 천정배 공동대표

국민의당이 연휴 이후 이르면 9일 당직 개편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창당 이후 사실상 ‘전시 체제’로 당이 운영돼 왔다는 점에서 이번 개편은 사실상 당의 체계를 재구성하는 ‘재창당’ 수준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당내 세력 간 ‘탕평 원칙’ 기조와 원외 인사 중용 방침이 개편의 큰 줄기가 될 전망이다.

천정배 공동대표는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9일 당직 개편 결과를 발표 할 수 있도록 안철수 공동대표와 논의하며 노력하고 있다”며 “조속히 마무리 지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앞서 천 대표는 “당직 인사를 할 때 여러 분야를 우리 안에서 골고루 배려하는 탕평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며 “우리당 국회의원들이 서울에도 두 분 계시지만 주로 호남이라 호남과 비호남간 균형이 이뤄져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호남 비중이 높은 당내 인적 구성이 개편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얘기다. 천 대표는 “당내 여성 의원들이 있으니 그 부분도 배려돼야 한다”고 했다.

안 대표는 원외 인사 중용 방침을 천명했다. 그는 최근 기자들과 만나 “원외에 계신 분들께 적극적으로 역할을 부탁하겠다”고 했다. 김영환 문병호 최원식 부좌현 의원 등 20대 총선에서 아쉽게 낙선한 수도권 의원들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국민의당은 38명의 당선자를 배출했지만 이들이 모두 상임위 간사 등 원내에서 일정 역할을 맡아야 할 가능성이 높다. 한 당직자는 “배지들을 당직으로 뺄 여력이 많지 않다”며 “외부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당내에서는 인사 관련 분란을 최소화하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하지만 이 두 기조가 부딪히면서 파열음을 낼 가능성도 제기된다. 사무총장 등 한정된 핵심 당직을 놓고 호남과 수도권, 호남과 안철수계의 다툼이 생길 수도 있다는 얘기다.

사무총장 직에는 현재 수도권 원외 인사가 우선순위로 거론된다. 안 대표의 측근인 박선숙 현 사무총장의 유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그는 최근 주변에 사퇴를 시사했다고 한다. 그가 유임될 경우 불거질 ‘안철수 사당’ 논란도 부담이다. 호남 다선은 국회 부의장, 상임위원장 등 국회직을 맡을 가능성이 높아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호남 인사들이 중책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 호남 인사는 “원외 인사가 어떻게 사무총장을 맡느냐”고 주장하기도 했다. 안 대표 측은 “호남이 모든 직책을 다 가져갈 수는 없다”고 맞서는 상황이다. 공동대표 간 조율 하에 핵심 당직이 결정됐다 하더라도 당내 반발이 터져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단순히 지역 안배나 원외 인사 배려 기조에 매몰되기 보다는 실무 능력에 방점이 찍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국 정당’의 기틀을 제대로 다지면서도 ‘새정치’ 구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해 낼 비전이 있는 인물이 적격이라는 주장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핵심 당직을 우선 인선하고 이후 추가로 당을 완전히 새로 만드는 작업이 진행될 것”이라며 “네트워크·플랫폼 정당을 만들기 위한 중장기적인 플랜도 함께 고민하는 개편이 돼야 한다고 내부적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