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어린이집에 4살 난 아들을 보내는 신모(34·여)씨는 임시공휴일인 6일 아이를 맡길 곳을 찾지 못해 애를 태웠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신씨와 남편은 모두 출근해야 했다. 결국 평소 두 배 수준인 시급 2만원에 12시간을 봐줄 ‘임시 베이비시터’를 불렀다.
갑작스런 공휴일에도 쉬지 못하는 맞벌이 부부들은 연휴 기간 ‘돌봄 전쟁’을 치렀다. 교육부는 맞벌이 부모들을 위해 일선 초등학교에 수업 후에 학생들을 돌보는 ‘돌봄 교실’을 운영하도록 지침을 내렸고, 유치원과 어린이집에도 부모가 원하면 아이를 맡으라고 안내했다.
현장 사정은 여의치 않았다. 일부 유치원·어린이집은 등원하는 아이 수를 조사하지 않고 휴무를 통지했고, 일부 유치원·어린이집은 아이를 맡기려는 부모에게 ‘쉴 수밖에 없다’고 사정하기도 했다. 신씨 아들의 어린이집도 그랬다. 어린이집은 “지난주 긴급돌봄 수요조사를 했는데 신씨 아들만 등원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아이를 맡길 다른 곳을 찾아봐 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신씨는 “공휴일 출근도 서러운데 낯선 사람과 종일 집에 있는 아이에게 미안하고 어린이집이 야박하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경기 고양시에 사는 김모(36·여)씨는 지난 5일 경북 상주의 친정에 아들(6)을 맡기고 왔다. 김씨와 남편 모두 6일에 출근을 해야 하는데 맡길 사람이 친정어머니 뿐이었다. 김씨는 “아이가 놀이동산에 가고 싶다고 했지만 못 데려가서 미안했다”며 “나 같은 맞벌이 엄마가 많다”고 말했다.
유치원·어린이집도 상황은 힘들다. 교사 처우도 좋지 않은데 아이 한두 명 때문에 출근하라고 요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하소연이다. 대전지역 유치원 교사 김모(25·여)씨는 “특별수당을 받으면 낫지 않겠냐는 얘기도 있는데 교사 대부분은 휴식을 택할 것”이라며 “휴일에 근무하면 평일에 하루 쉬는 방식으로라도 휴식권을 보장받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이영 차관은 각각 서울 관악구 신성초등학교와 동작구 남사초등학교 돌봄교실 현장을 점검했다. 평소 44명이 이용하는 신성초 돌봄교실에는 14명이 참여했다. 74명이 이용하는 남사초 초등 돌봄교실에는 13명이 참여했다. 서울의 경우 6일 돌봄교실이 운영된 초등학교는 전체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기혼가정의 43.9%가 맞벌이 가정이다. 지난달 28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중소기업 35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일에 쉬겠다고 답한 곳은 36.9%에 불과했다.
전수민 김판 기자 suminism@kmib.co.kr
“우리 애 좀 봐주세요” 연휴 악전고투 벌인 부모들
입력 2016-05-06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