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언어 트라우마는…” 표창원 집중 분석

입력 2016-05-06 11:17 수정 2016-05-06 11:18

더불어민주당 표창원 당선인이 박근혜 대통령의 언어 트라우마에 대한 해석을 내놨다.

표창원 당선인이 게스트로 출연한 4일 TV조선 ‘강적들’ 방송 장면이 6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다시 주목을 끌었다. 방송에서 그는 국회의원이 아닌 프로파일러로서 박근혜 대통령의 언어 습관을 분석했다.

표창원 당선인은 “사실 박근혜 대통령은 원래 정치를 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부모의 불행을 본인도 겪고 싶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라며 “그런데 ‘국민을 도와줘야지’라는 생각으로 본인이 자꾸 정치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고 선거의 여왕이 됐다. (이런 부분이) 언어적 습관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은) 선거 때 명쾌하고 핵심적인 발언으로 군중을 흥분시킨다”며 “하지만 긴 대화로 이어져나가면 말이 꼬이고 자신의 내면을 다 표현해내지 못한다”고 진단했다.




정치 스타일을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물려받은 게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다기보다 참모들이 ‘부친이라면 이렇게 하셨을 것’이라는 식의 주입식 직언을 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늑장 소통 문제에 있어서도 보좌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표창원 당선인은 “기자를 만나는 건 물론 즐거운 일이 아니다. 사석에선 좋은 이야기를 하지만 경계가 해제된 뒤에는 기사거리를 뽑아내려고 하기 때문”이라면서 “그 순간 보좌진이 ‘자주 만나지 말라’고 하면 (듣는 사람은) 좋은 거다. 소통을 꺼려하는 전반적인 분위기가 박근혜정부 소통 문제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