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성동 코엑스 앞 영동대로 지하에 2021년 말까지 대규모 광역복합환승센터가 조성된다. 버스환승센터와 통합철도역사, 주차장, 상업·문화시설 등이 지하6층 연면적 16만㎡에 들어서게 되면 이곳은 서울 동남권의 새로운 교통·상업 허브로 부상하게 된다.
서울시는 2일 국제교류복합지구의 핵심 인프라인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기본구상안을 발표하고 이달 중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사업 구간은 지하철 2호선 삼성역~9호선 봉은사역까지 연장 630m, 폭 70m, 깊이 51m(6층)다. 건축 연면적이 약 16만㎡로 국내 지하공간 개발 역사상 최대 규모의 프로젝트다.
이곳에는 통합철도역사, 버스환승센터, 도심공항터미널, 주차장, 상업·공공문화시설 등 복합적 기능의 공공 인프라가 들어서게 된다.
지하 3`6층에는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KTX 동북부 연장(수서~의정부), GTX-A(킨텍스~삼성), GTX-C(금정~의정부), 남부광역급행철도(당아래~잠실), 위례~신사선 등 삼성역을 경유하는 6개 노선 역사가 통합 건설된다.
지하2층에는 버스환승센터가 설치된다. 1일 5만명인 버스 이용객이 향후 1일 18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돼 영동대로의 교통혼잡을 완화하고 버스와 철도 간 환승 및 다양한 교통수단간 환승편의 등을 고려해 걸설된다. 시는 영동대로와 테헤란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 현재 코엑스 내부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을 영동대로 지하로 옮겨 지하 1~2층에 지을 계획이다. 현대차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마이스(MICE) 단지 연계 등 이 일대 국제 비즈니스 수요 증가에 대비해 인천·김포공항과 직결되는 공항철도, 공항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탄천변 주차장 폐쇄에 따른 주차공간 부족, 코엑스·현대차 GBC 등 주변 지역 관광버스 주차 수요 등을 고려해 지하 3층에 대형차 중심으로 적정 수준의 주차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홍보 인큐베이터 센터, 여행라운지, 한류 체험관 등 다양한 상업·문화시설도 지하1층에 배치된다. 코엑스몰(16만5000㎡)과 새로 조성될 GBC쇼핑몰(9만6000㎡)까지 지하로 연결되면 일대는 잠실야구장 30배 크기의 대규모 지하도시(총 42만㎡)가 된다.
지상부는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고 중앙보행광장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코엑스, 현대차 GBC를 공간·기능적으로 연결하고 지상과 지하를 유기적으로 이어주는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시는 이달부터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에 들어가는 동시에 타당성 평가 등 각종 행정절차를 진행해 연말 광역복합환승센터 지정까지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이어 내년 상반기 국제설계 공모 등의 방식을 통해 기본·실시설계를 진행하고 그해 12월 착공에 들어가 20121년 말까지 삼성~동탄광역철도 구간을 우선 개통할 계획이다.
통합철도역사 전체가 개통되면 현재 서울역 이용객(1일 32만명)의 1.3배 수준인 하루 40만명(광역·고속철도 22만, 도시철도 18만)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버스승객(1일 18만명)까지 합하면 이용객이 하루 58만명에 달해 영동대로 삼성역 일대는 국내 최대의 대중교통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은 서울과 수도권 간 광역적 대중교통체계구축을 위해 국토교토부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1조1691억원이며 서울시는 현대차 GBC에서 발생하는 공공기여금과 교통개선대책부담금 등을 활용 약 5609억원을 부담한다는 방침이다.
신용목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영동대로 지하공간 통합개발이 완료되면 영동대로 일대는 교통허브이자 국제적인 명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영동대로 지하에 대규모 복합환승센터 2021년까지 준공…GBC, 코엑스몰과 합치면 거대한 ‘지하도시’
입력 2016-05-02 10:05 수정 2016-05-02 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