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대표의 뒤를 잇는 ‘2인자’ 이미지가 강했던 원내대표가 20대 국회에선 정국 주도권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원내 과반 정당이 없는 여소야대(與小野大) 3당 체제에서 여야간, 야당 간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3당의 차기 당 대표가 실세형 보다는 내년 12월에 있을 대선 관리형이 될 가능성이 커 원내대표에 무게 중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많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3일과 4일 각각 원내대표 경선을 치른다. 국민의당은 지난달 27일 당선자 워크숍에서 박지원 원내대표·김성식 정책위의장을 합의 추대했다. 3당의 원내사령탑 진용이 확정되면 20대 국회 원 구성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 배분, 개별 의원들의 상임위 배치 문제까지 전부 원내대표단 소관이다. 양당 체제에선 원내 제1당이 국회의장을 맡고 부의장은 한명씩 나눠 맡았었는데 이번엔 1석 차이로 원내 제1, 2당이 뒤바뀐 데다 어느 정당도 과반 의석을 갖지 못해 셈법이 복잡해졌다. 의석수가 줄어든 새누리당은 최소 2개의 상임위원장 자리를 야당에 내줘야 하는 상황이다. 여야가 협상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국회 공전이 장기화될 수 밖에 없다.
4년 전 19대 국회 땐 그해 대선을 앞두고 여야가 대립하다 7월이 돼서야 개원식을 했다. 이때 야당의 원 구성 협상을 주도했던 박 원내대표는 이번엔 5월 중으로 원 구성을 끝내자고 제안한 상태다. 19대 국회가 역대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만큼 일하는 국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라도 속도전을 피할 명분이 없다. 국회 관계자는 1일 “20대 국회 첫 원내대표에게는 협상력 뿐 아니라 순발력과 과단성이 필수 덕목”이라고 했다. 20대 국회에서 다룰 이슈도 기업 구조조정과 노동개혁 등 하나같이 무거운 것들이다.
이르면 6~7월, 늦어도 내년 초에 선출될 3당의 대표는 차기 대선과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 3당 모두 당권·대권을 분리하고 있어서다. 정권 재창출 혹은 정권 탈환을 위한 대선 주자는 따로 있고 당 대표는 선거를 실무적으로 진두지휘하는 역할 분담이 이뤄질 전망이다. 정치권에선 의회 중심의 원내정당화로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다.
19대 국회 마지막 임시국회도 빈손으로 끝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해 차기 원내지도부의 짐이 더 커지는 형국이다. 여야 협상이 지지부진해 쟁점 법안 대부분은 자동 폐기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노동개혁 4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규제프리존 특별법은 물론 더민주가 내세우는 대·중소기업상생협력촉진법과 사회적경제기본법, 국민의당이 강조하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등이 대표적이다. 19대 국회가 이날까지 처리한 법안은 7683건으로 같은 기간 18대 국회에서 처리한 1만3913건의 절반 수준(55.2%)에 불과하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20대 첫 여야 원내사령탑에 쏠리는 눈길…과반정당 없어 주도권 결정
입력 2016-05-01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