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이 조선 불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내 협력사들을 살리기 위해 활로를 모색한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3일 고용노동부 울산지청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내협력사들과 상생하는 상생 협약을 체결한다고 1일 밝혔다.
협약은 사내협력사의 경영 안정화와 정상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과 지원을 다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또 사내협력사들이 임금을 체불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하는 현실적인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의 사내 협력업체 34곳이 폐업해 근로자 3400명의 임금 197억원이 체불된 상태다. 또 2015년 울산의 전체 임금체불 사업장은 2758개, 체불액 357억8000만원, 피해 근로자 8100여명으로 집계됐다. 2014년 2509개, 222억6000만원, 6100명에 비해 각각 9.9%, 60.7%, 32.8% 각각 증가했다.
울산시도 조선해양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사내협력사 지원 관련, 중소기업경영자금을 당초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증액해 업체당 1억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방세 세무조사 연기와 지방세 감면을 검토하고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요청키로 했다. 시는 또 조선해양분야 연구기관 설립 및 기술혁신을 통해 위기극복을 돕고 있다. 조선해양도장표면처리센터(2016.8), 조선해양기자재 장수명기술지원센터도 착공(2016.12),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기술 등 기업지원한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임금체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협력사를 도와 원·하청이 서로 위기를 이겨내고 상생하는 분위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민관이 협력해 조선불황 이겨낸다
입력 2016-05-01 1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