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서 연립정부 구성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대선 전초전인 20대 총선 결과 ‘여소야대(與小野大) 3당 체제’가 정립됐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과반 의석 수성에 실패해 김무성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유력 대선 주자들이 상처를 입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원내 1당의 위치에 올랐지만 호남을 잃었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공동대표라는 유력 대권 후보가 있고 호남에서도 승리했다. 하지만 독자적으로 정권을 교체할 전국적인 기반이 갖춰지지 않았다. 3당 중 어느 한 곳도 단독으로 정권을 차지하기 힘들어 보이는 현 구도가 연정론을 뒷받침하는 배경이다.
신생 정당인 국민의당은 각 당이 대권에서 승리하기 위한 필수 요소를 하나씩 갖고 있다. 대권의 향방을 가를 ‘캐스팅보트’로는 최적이다. 국민의당에서 연정론을 선제적으로 제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안 대표 측인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개혁적 보수, 합리적 진보 세력 등 모든 정치 세력과의 연대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했다. 호남 중진인 박지원 의원도 ‘DJP연합’을 예로 들며 “전략적 연정을 통해 집권도 하고 호남이 실리도 챙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양측이 공감하고 있지만 호남 세력과 안 대표 측의 시각 차이는 확연하다.
박지원 의원을 중심으로 한 호남 세력은 야권 대권 주자와의 연대, 연정이 필요하다. 연정 상대는 안 대표일 가능성이 높지만 더민주의 대권 후보가 될 수도 있다. 한 호남 인사는 “호남을 정치 세력화시켜 대선에서 확실한 캐스팅보트를 행사하자는 것”이라며 “대선 직전에 호남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편에 설 것”이라고 했다. “안철수계가 자꾸 당에서 제2의 ‘친노(친노무현)’처럼 행동한다면 호남이 왜 대선에서 안 대표에게 힘을 보태주느냐”는 얘기도 당내에서 나온다.
안 대표 측은 안철수라는 대권 후보가 필요한 곳이 우선 협력 대상이다. 후보가 난립하고 있는 더민주보다 새누리당이 더 매력적인 상대다. 이 본부장이 언급한 ‘모든 정치 세력’은 정치권에서 사실상 새누리당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이상돈 전 공동선대위원장은 한발 더 나아가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전제로 현 정부와도 ‘거국내각’을 꾸리는 등 연정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전 위원장은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연정 이슈를 계속 제기해야한다”고 했다. 현 정부에서 연정이 성사된다면 대선 국면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연정론이 확대되자 여권 내에서도 이에 호응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여소야대 구도에서 자칫 ‘식물 여당’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지난 26일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생각, 가치관이 다른데 섞이게 되면 이것도 안 되고 저것도 안 된다”며 연정을 거부했다. 국민의당 내에서도 안 대표를 포함해 ‘연정론은 시기상조’라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 연정에 대한 시각차이와 계파 갈등으로 당내 감정의 골이 깊어질 가능성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연정, ‘야권통합론’ 등의 이슈가 봇물처럼 제기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야권 관계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여권 후보로 대선에 나설 수도 있고 더민주가 호남의 지지를 가져올 수도 있다”며 “다만 연정은 배제할 수 없는 하나의 가능성”이라고 했다.
문동성 김경택 기자 theMoon@kmib.co.kr
<이슈분석>대통령·안철수 아니라고 해도 끊이지 않는 ‘연정론’
입력 2016-04-29 16:41 수정 2016-04-29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