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주류 친박(친박근혜)계의 구심력이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 ‘친박계의 자기 장사’ 비판에 친박계 좌장 최경환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 의사까지 내비쳤지만 현 정부 장관 출신 유기준 의원은 원내대표 출마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최 의원 측근은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유 의원 출마 만류가 당 대표 출마를 염두에 둔 ‘작전상 후퇴’라는 시각에 대해 “최 의원은 ‘(당 대표직에) 마음을 비운지 오래다. 등 떠밀어도 나가고 싶지 않은 심정’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유 의원 출마를 제지하고 나선 게 “당권 도전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지적이 비박(비박근혜)계 중심으로 제기되자 ‘자숙론’의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 전당대회 불출마 가능성까지 시사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유 의원의 원내대표 경선 출마는 대통령의 뜻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출마”라고 “새누리당에 이런 뜻을 분명히 전달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당 안팎에선 ‘원내대표 합의추대론’이 다시 힘을 받고 있다. 원내대표 경선 과정에서 친박계의 자중지란 양상이 심화할 경우 총선 공천 과정에서 벌어진 내홍이 재연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에 경선 불가론이 힘을 얻고 있는 것이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 출마 후보자로 거론되는 나경원 의원과 정진석 의원과 잇따라 회동을 가졌다. 원 원내대표는 회동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원내대표 경선이 또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차원에서 가급적이면 김재경 의원이 말한 것처럼 출마 희망자들이 (합의추대) 마음을 모아서 결정해주면 제일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나 의원은 원 원내대표와 회동을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당의 갈등을 보여주거나 또다시 계파 대립으로 보여서는 안 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봤다”며 “합의하는 게 가장 좋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민주주의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가 공복을 선출할 때 경선을 거치는 것 아니냐”며 “그것을 싸움으로 판단하고 계파 갈등으로 봐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합의추대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는 또 “(청와대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은 일이 없다”며 “원 원내대표를 최근 만나 출마 의사를 전달했을 뿐 다른 이야기가 오가지는 않았다”고 했다.
청와대 내부에선 적극적인 만류에도 유 의원이 여전히 경선 출마에 나서기로 하자 불쾌감 속에 당내 선거 등에 더 이상 상관하지 않겠다는 기류도 읽힌다.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새누리당 일부 의원들이 청와대와는 소통 또는 교감이 없었으면서도 이른바 ‘박심(朴心)’이라는 점을 앞세워 행동하는 사례를 없애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친박계 이학재 의원도 이날 라디오인터뷰에서 “친박 핵심 유기준 의원, 친박 핵심 최경환 의원 얘기하는데 친박 핵심이라는 사람들이 대통령하고 실제 가까운 사람인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친박 핵심으로 불리는) 것들이 자기 개인의 입신, 출세를 위해서 활용되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한장희 남혁상 김경택 기자 jhhan@kmib.co.kr
구심력 상실한 與 주류-친박 좌장 최경환 '전대 불출마' 시사로 진정성 호소했지만...
입력 2016-04-29 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