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4·13 총선 당시 호남에서 참패힌 원인이 당의 정체성 논란과 ‘호남 홀대 론’에 적극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민주정책연구원과 강기정·홍종학 의원 주최로 28일 국회에서 열린 ‘호남 총선평가 성찰과 대안 토론회’에서 오승용 전남대 교수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우클릭 행보’가 호남 표심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오 교수는 발제문을 통해 “더민주가 국보위 출신 김종인을 영입한 행위는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정면으로 훼손하는 도전으로 받아들여졌고, 이와 관련한 반발이 호남 내에서 실제로 있었다”며 “특히 햇볕정책 폐기와 대북강경 노선 등 외교안보노선의 우클릭은 정통 야당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고 설명했다. 오 교수는 “전통적인 호남 유권자들은 더민주에 대해 더 이상 ‘우리당’이라는 인식을 유지하기 힘들어졌다”고 했다.
김성주 의원(전주 병)은 “김대중 이후 호남 출신 지도자를 갖지 못한 호남 민심은 호남 출신 인사들끼리의 대권경쟁에 대해 깊은 소외의식을 느끼고 있다”며 “여기에 ‘친노 패권주의’ 프레임과 ‘반 문재인’ 정서가 더민주를 심판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했다. 또 “김종인 대표의 지원 방문은 셀프공천 논란으로 희석되고 비례대표 공천 과정의 혼란과 실망에다 지속적으로 5공 시절 국보위 참여 논란으로 퇴색돼 버렸다”며 “거기에다 문 전 대표의 호남 지원유세 여부가 계속 논란이 됨으로써 관심은 문 전 대표 사과 등 엉뚱한 데 쏠려버렸다”고 지적했다.
안일권 리서치뷰 대표는 “문재인 전 대표가 ‘친노’의 수장으로 각인되고 ‘친노 호남 홀대론’의 장본인으로 호남 유권자에게 각인됐지만, 당내 주류는 호남 홀대론이 사실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대응해 왔다”고 진단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더민주 호남참패 원인은 정체성과 호남홀대론, 패권주의 논란 때문
입력 2016-04-28 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