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 방역 경남 구제 청정지역

입력 2016-04-28 09:46
경남도가 구제역·AI 발생에 신속하고 선제적 방역대책을 추진해 축산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막고, 도내 축산물 브랜드 이미지를 높였다.

경남도는 전북 김제 구제역 발생과 경기 이천 AI 발생을 시작으로 전국에 내려졌던 이동제한 방역조치가 모두 해제됐다고 28일 밝혔다.

도는 신속한 전국 발생동향 및 역학사항 분석과 선제적인 방역조치를 통해 구제역·AI 도내 유입을 막아 청정지역을 사수했다.

특히 전북 김제 구제역 발생 직후 도와 전 시·군에 구제역·AI 방역대책상황실을 설치해 전국 발생상황에 맞춰 기민하게 대처해 왔다.

축산차량으로 인한 구제역·AI 전파 차단을 위해 도내 주요지점에 거점소독시설 25개를 설치·운영, 도내 유입 축산차량 외 축산농가 방문 차량에 대해 소독을 했다.

또 구제역·AI 전파위험이 높은 도축장, 사료공장에 대해서는 소독전담관을 지정·운영하는 등 빈틈없는 차단방역을 했다.

이 외 구제역 백신 항체형성 및 백신공급 상황을 농가별로 분석해 방역실태 조사와 방역지도를 했고 소규모 농가, 위탁관리농가 등 방역취약농가 정기 점검 등을 통해 축산농가 자율 차단방역을 유도했다.

도는 전국 방역조치가 해제됐으나 과거 발생지역 바이러스 잔존으로 백신접종 및 차단방역 미흡농가를 중심으로 재발 위험요인이 있어 구제역·AI 특별방역대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또 다음 달 7일까지 축산농가와 도축장 등 축산시설에 대해 자율적인 일제소독을 유도하는 한편 공동방제단 75개 반과 시군·축산진흥연구소 보유 소독차량을 활용해 집중 소독을 한다.

이 외 방역취약농가 방역실태정기 점검 및 축산농가, 축산관련 종사자, 계열화 사업자에 대한 방역교육과 거점소독시설 상시운영, 일제소독의 날 운영 등 방역대책을 지속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성재경 도 축산과장은 “구제역·AI가 전국에 걸쳐 발생했으나 방역 유관기관의 협조로 잘 막아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구제역·AI 없는 청정 경남을 지켜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