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과 3당대표 회동 성과낼까... 전망은 여전히 흐림. 시기도 유동적

입력 2016-04-27 16:24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이른 시일 내 3당 대표와의 회동’이 언제 어떤 형식으로 이뤄질지, 특히 이번엔 발전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은 20대 국회에서 여소야대 및 3당체제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열리는 첫 소통의 자리다. 그런 만큼 향후 박 대통령과 정치권의 이른바 ‘협치’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로 평가된다. 하지만 회동이 이뤄진다고 해서 바로 국정 협력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26일 언론사 간담회에서 나타난 박 대통령의 구상과 야권의 생각과는 간극이 여전히 큰 탓이다.

◇7번째 회동에선 성과 도출? 전망은 불투명=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여야 지도부와 모두 6차례 회동했다. 취임 직후인 2013년 4월 민주통합당 지도부 초청 만찬을 시작으로 그해 9월 여야 대표와의 국회 회동, 2014년 7월과 10월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 지난해 3월 여야 대표, 10월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 등이 있었다. 그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증세 등 당시 현안에 대해 협력보다 갈등이 오히려 부각됐다. 마지막 회동이었던 지난해 10월 당시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대표·원내대표와의 만남에서도 국정교과서 문제로 격론을 벌이기도 했다.

박 대통령과 3당 대표가 만나면 단연 경제활성화 및 민생 법안 처리 문제, 구조개혁 및 구조조정 등이 최우선적으로 대화테이블에 올라올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회동에서도 파견법 등 핵심쟁점에 대해선 박 대통령과 야당 입장이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은 농후하다. 박 대통령은 26일 간담회에서 야당이 반대하는 파견법을 거론하며 “이대로 임기를 마치면 한이 남을 것 같다”고 할 정도로 국회 통과를 호소했다. 하지만 야당은 이 법안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합의점을 찾기는 여전히 어려울 전망이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27일 박 대통령의 3당 대표 회동 정례화 제안에 대해 “정식 회의가 제의되면 응할 용의가 있다”면서도 “지금까지 박근혜정권이 추진한 일에 대해 전혀 변화가 없다는 걸 강조했다. 논평할 가치가 없다”고 했다.

◇여야 지도부 교통정리 후 회동 성사될 듯=회동 시점은 유동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간담회에서 언급한대로 3당 대표를 이른 시일 내에 만나겠다는 게 박 대통령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여야 대표 등 지도부의 지속성 여부가 극히 불투명하다는 데 있다.

새누리당은 현재 원유철 원내대표가 대표 대행을 맡고 있다. 여기에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원내대표의 비상대책위원장직 겸임 등에 대한 내부논의가 계속 진행 중이다. 더민주 역시 김종인 비대위 대표 체제를 계속 끌고 갈지, 아니면 전당대회를 개최할 지에 대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상황이다. 상임공동대표 체제인 국민의당 역시 누가 회동에 참석할지에 대한 내부 조율이 필요하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