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올해 1분기 ‘알바생’의 월평균 소득이 66만945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성장률이 전년 1분기보다 마이너스 성장한 수치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은 아르바이트 소득이 있는 전국 남녀 3509명의 월평균 총소득과 근무시간을 조사한 ‘2016년 1분기 알바소득지수 동향’을 27일 발표했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이 아르바이트 소득이 있는 전국 남녀 3천 509명의 월평균 총소득과 근무시간을 조사해 분석한 ‘2016 1분기 알바소득지수 동향’을 27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아르바이트생 월평균 소득은 66만9450원으로 전년동분기 (68만2099원) 대비 -1.9% 감소했다. 이는 전년 소득 증가율인 6.4%에서 무려 8.3%포인트 크게 떨어진 것이다. 아르바이트생의 소득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6.4%, 메르스 사태 충격이 컸던 작년 2분기 2.9%, 3분기 2.4%, 4분기 0.8%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1분기 소득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는 소비 부진 등 경기불황의 여파로 아르바이트 시장 일자리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아르바이트 시장이 최근의 불경기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간 평균 근로시간은 21.8시간으로 전년도 22.7시간 대비 0.9시간 감소했다. 1분기 평균 시급은 7075원으로 전년도 6910원과 비교해 2.4% 증가했다. 이는 올해 법정 최저임금 상승률인 8.1%의 4분의 1에 그치는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생산/기능(92만3333원, +8.9%)이 큰 폭으로 상승한 가운데 사무/회계(+5.7%), 서비스(+3.1%)를 제외한 나머지 업종에서 모두 하락했다. IT/디자인(79만244원, -12.8%)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고, 이어 상담/영업(-11.9%), 강사/교육(-6.2%), 매장관리(-2.3%), 서빙/주방(-0.9%) 순으로 소득이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대(82만1547원, +3.1%)의 소득이 가장 많이 증가했고, 20대(+0.1%), 30대(-0.7%), 50대(+0.3%)가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10대(41만2329원, -12.2%)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알바들의 눈물" 월평균 소득 마이너스…경기부진 탓
입력 2016-04-27 13:26 수정 2016-04-27 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