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과 3당대표 회동... 이번엔 협력 이끌어낼까

입력 2016-04-27 10:06

박근혜 대통령이 26일 이른 시일 내 여야 3당 대표와의 회동을 제안하면서 언제 어떤 형식으로 이 회동이 이뤄질지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은 특히 20대 국회에서 여소야대 및 3당체제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열리는 만큼 향후 박 대통령의 대국회 협력과 관련한 국정운영 기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다.

회동 시기는 우선 이르면 5월 초중순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박 대통령은 여야 3당 대표와의 회동 시기에 대해선 “이란 방문을 마치고 돌아와 이른 시일 내에 만날 것”이라고 했다. 이란 방문일정(5월1~3일)을 마치고 4일 귀국하는 만큼 3당 대표들의 일정만 맞으면 이후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연휴 기간과 다른 공식일정을 감안하면 중순 쯤으로 넘어갈 수 있다. 야권 역시 박 대통령과의 회동은 거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구체적인 시기는 여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원유철 원내대표가 대표 대행을 맡고 있는 상황이고, 더불어민주당 역시 ‘김종인 비대위 대표 체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대한 최종 정리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시기나 형식보다는 내용이다.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수차례 회동을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일부 현안에 대해선 합의를 도출하기도 했지만, 상당수는 오히려 양측의 커다란 입장 차이만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이 마지막으로 여야 대표를 만난 것은 지난해 10월22일이었다. 당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와 5자회동을 했지만 ‘국정 교과서’ 문제에 대해 사실상의 격론을 벌였다.

과거 2013년 4월 민주통합당 지도부 청와대 초청 만찬, 그해 9월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및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의 국회 회동, 2014년 7월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 등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 같은 해 10월 국회 원내 지도부 회동, 지난해 3월 여야대표 청와대 회동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협력보다는 갈등이 부각된 게 사실이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민의를 받들면서 정치권은 물론 각계각층과 협력·소통을 하겠다고 한 만큼 과거와는 다른 협치와 소통의 자리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결국엔 과거처럼 갈등이 다시 부각될 가능성도 배제하긴 어렵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