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2년 이상 일하면 1200만원이 적립하는 ‘청년내일공제(가칭)’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1만명의 중소기업 인턴 청년을 대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청년이 일할만한 ‘청년 친화 강소기업’을 선정하고 대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한 직무체험 프로그램도 실시한다.
정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청년·여성 취업연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사상 최악의 청년 실업률과 해결되지 않는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 등이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자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인다는 것이 이번 방안의 주된 취지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관계기관 협업 토론회에서 “정부는 적극적인 ‘일자리 중개인’이 되겠다”면서 “이 같은 방안을 통해 올해 중 4만명의 구직 청년·여성을 구인기업에 매칭해 취업으로 연결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단 청년 구직자의 대기업 쏠림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중소기업 취업을 지원하는데 집중했다. 중소기업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기 위해 현재 청년인턴지원사업 일부를 자산 형성 지원 모델로 삼기 위해 중소기업청의 ‘내일채움공제’사업 과 연계한 ‘청년내일공제(가칭)’ 사업을 신설키로 했다.
현재 중소기업 청년 인턴사업에 참여하는 청년에게 1년 근무시 300만원을 주던 것을 2년 근속시 600만원으로 늘렸다. 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1년 유지하면 기업에 주던 정규직전환지원금도 청년에게 적립시켜주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청년 본인도 매월 적립을 통해 300만원을 저축, 총 1200만원의 자산이 형성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 제도를 통해 청년의 중소기업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대기업에 비해 임금이 낮은 청년의 초기 자산 형성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 취업 지원을 위해서는 이날을 시작으로 매월 청년채용의 날을 지정해 전국 17개 고용존이 주관하는 분야별 채용행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고용디딤돌과 사회맞춤형 학과 등 기업과 대학중심의 채용연계사업 등도 강화한다.
대학 재학생 중심의 직무 체험 프로그램을 신설해 올해 1만명을 지원하고, 청년이 일하기 좋은 강소기업을 엄선해 5월 중 기업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다.
여성 일자리 대책은 중소기업의 육아휴직 활성화와 경력단절여성 채용 등을 지원하는데 집중했다. 중소기업 육아휴직시 기업 지원금을 현재 인당 월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인상하고, 경력단절 여성 고용시 지원받는 사회보험료 세액 공제율도 현재 50%에서 100%로 대폭 확대한다. 전환형 시간선택제와 관련 오는 6월까지 수요 전수조사가 진행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청년 일자리 창출에서 '중개인' 자처한 정부, 청년 중소기업 장기 근속시 1200만원 지원
입력 2016-04-27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