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3당 체제는 민의가 만들어준 것"

입력 2016-04-26 17:15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여야정 협의체 구성 등 여소야대로 재편된 정치권과의 협력·소통을 제안했다. 이 과정에서 “민의를 잘 반영해 각계각층과 협력, 소통을 잘 하도록 각고의 노력을 하겠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우선 집권여당인 새누리당 참패로 끝난 4·13 총선 결과에 대해 “양당 체제에서 3당 체제를 민의가 만들어준 것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3당 체제에선 협력하고 견제할 것은 하더라도 뭔가 이뤄내고 이런 식으로 변화를 일으켜 민생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 경제 활성화에도 힘이 돼주는 쪽으로 변화하는 것을 국민이 바라신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여야정 협의체 언급을 하면서도 협상파트너인 야당 대표·원내대표가 수차례 바뀐 데 대한 어려움도 토로했다. 박 대통령은 “남은 19대 국회, 20대 국회에서도 좀 더 전향적으로 생각해서 협력할 것은 해주고 일이 되도록 만나는 것은 좋고 저도 만날 의향이 있는데, 만나도 평행선으로 갔다”고 했다. 이어 “어떤 때는 좋은 분위기에서 끝났고, 어떤 때는 그렇지 않으면서도 서로 이야기할 것은 다 했다”며 “(그런데) 그 다음에는 아무 것도 변함이 없다. 그리고 원내대표 바뀌면 또 만나서 ‘이것은 꼭 이번에 되게 해주세요’라고 하는데 그 다음에 또 안 되는 거예요”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여야정 협의체를 만들어 그런 문제도 전향적으로 해준다면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정치권 일각에서 나오는 개헌론은 한마디로 일축했다. 박 대통령은 “지금 이 상태에서 개헌하게 되면 경제는 어떻게 살리는가”라며 “지난 선거 때도 개헌을 주도하겠다는 그런 ‘개’자도 안 나왔다. 오히려 ‘경제를 살리겠다’는 얘기가 나왔고 그만큼 국민이 절박하다”고 말했다. 야당과의 연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서로 정책이나 생각이나 가치관이 엄청 다른데 막 섞이면 이것도 안 되고 저것도 안된다”며 “그리고 누가 책임을 지느냐, 책임질 사람도 없게 되니까 그건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고 했다. 노동개혁 4법 중 하나인 파견법의 중요성에 대해선 “이렇게 대통령이 돼도 자기가 한 번 해보려는 것을 이렇게 못할 수가 있느냐”며 “나중에 임기를 마치면 저도 엄청난 한(恨)이 남을 것 같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총선 공천과정에서 계속됐던 새누리당 내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 논란에 대해 “사실은 제가 친박을 만든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대통령은 “친박은 선거마케팅으로 자신들이 그냥 만들어서 친박, 탈박, 짤박 등 별별 이야기를 다 만들어낸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없애라 마라 그런다고 될 일도 아니다. 앞으로 정치인들이 마케팅보다는 신뢰를 지키면서 신념의 정치를 해 나가야 되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또 지난해 6월 국무회의에서 ‘배신의 정치를 심판해 달라’고 한 부분에 대해선 “자기정치를 한다고 대통령을 더 힘들게 만들고 도와주지는 않는 많은 사람들을 보면서 제가 느꼈던 비애와 허탈감을 전반적으로 얘기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