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정치권과의 소통 및 협력 노력과 관련해 “이란 방문을 마치고 돌아와 빠른 시일 내에 (여야) 3당 대표를 만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3당 대표와 만나는 것을 정례화하는 문제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주재한 45개 언론사 편집·보도국장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여야 정치권과의 소통 등 향후 국정 운영 구상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 언급은 여소야대 및 3당 체제로 정치권이 개편된 만큼 야권과의 긴밀한 협력 및 소통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 회동은 박 대통령의 이란 방문 이후 5월 초중순 쯤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은 지난해 10월이 마지막이었다.
박 대통령은 또 정부, 국회와의 협력을 위한 ‘여야정 협의체’ 구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사안에 따라서 여야정이 협의체를 만들어 집중 연구하고 정부와 계속 소통하면서 일을 풀어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야당과의 연정(聯政)에 대해선 “지난 대선에서 국민의 선택과 이번 총선에서 국민이 만들어준 틀 안에서 서로 협조하고 노력해서 국정을 이끌어가고 책임을 져야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또 개각 등 인적쇄신에 대해서도 “경제적으로 할 일도 많고 무엇보다 북한 5차 핵실험 등 안보가 시시각각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그렇게 할(개각을 할) 여유가 없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총선 당시 새누리당이 내건 한국판 양적완화와 관련해 “한번 우리가 긍정적으로 검토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이것은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추진되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세수 확보에 대해선 “법인세 인상 등 세금을 올리는 문제는 항상 마지막 수단이 돼야 한다”며 “세금을 올리기 전에 할 수 있는 것을 정치권이나 정부가 다 했나 이걸 뒤돌아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모두발언에서도 “남은 임기 동안 이번 선거에 나타난 민의를 잘 반영해 변화와 개혁을 이끌면서 각계각층과의 협력과 소통을 잘 이뤄나갈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그동안의 국정운영과 관련 “제가 나라의 국정을 맡은 이후로 어떻게 해서든지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제2도약도 이루면서 한편으로는 안보도 챙기고, 거기에 모든 힘을 쏟고 살았지만 지나고 보면 아쉬운 점이 참 많이 있다”고도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박 대통령 "3당 대표와 회동 정례화 검토"
입력 2016-04-26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