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참패 후폭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새누리당을 추스르는 임무를 외부 인사에 맡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당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쇄신 작업을 힘 있게 추진하려면 원외 인사가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칼자루를 쥐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를 놓고도 당내 계파 간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어 리더십 공백 상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당 안팎에선 김황식 전 국무총리, 강창희 김형오 전 국회의장, 조순형 한화갑 전 의원,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윤리위원장을 지낸 인명진 목사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외부 인사 영입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공감대는 확산돼 있다. 심재철 의원은 26일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비대위원장은 현역(의원)이 아닌 외부에서 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현역이 맡게 되면 또 다시 계파가 어쩌느니, 그런 이야기가 분명히 나올 것”이라며 “비대위원도 현역이 아닌 외부 사람들이 참여를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우택 의원도 “비대위원장이 쇄신안을 추진할 때 제일 중요한 게 계파 청산”이라며 외부 인사를 비대위원장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다시는 친박, 비박이라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해야 되는데 이것을 하려면 당파를 초월한 위기관리 능력이 탁월한 인물이 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했다.
문제는 누가 비대위원장으로 나서겠느냐는 데 있다. 오는 6월로 예정된 전당대회까지를 비대위원장 임기로 할 경우 쇄신안을 마련, 실행할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전당대회 전까지만 당을 ‘관리’해달라는 것만으로는 외부 명망가를 영입할 명분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당대회를 늦춰서라도 비대위 체제를 연장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만 계파 간 힘겨루기가 뇌관이다. 비박(비박근혜) 진영에선 “전당대회를 미루자는 건 결국 시간을 끌겠다는 의도인데 책임론이 잠잠해지기를 기다렸다가 특정 세력이 전면에 나서려는 것 아니겠느냐”는 말이 나온다. 반면 친박(친박근혜)계 한 의원은 “그러면 현실적으로 누가 그 짧은 시간밖에 주어지지 않은 비대위원장직을 맡으려고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새누리당 ‘외부 비대위원장’ 누가 맡을까
입력 2016-04-26 1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