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6일 3년 만에 갖는 중앙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간담회는 총선 이후 박 대통령의 첫 소통행보의 의미를 담는다. 특히 집권여당의 총선 참패 이후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민의를 겸허히 받들겠다”고 한 만큼 이번 간담회는 언론을 매개로 한 본격적인 민의 수렴 행보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대국민담화, 기자회견 등을 통해 언론과 만나왔다. 하지만 대국민담화는 박 대통령이 국민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주로 전달하는 자리였고, 기자회견 역시 공식적인 자리인만큼 허심탄회한 얘기를 모두 하기 힘든 측면이 있었다.
이번 오찬간담회는 공식행사이긴 하지만, 특정한 주제 또는 시간제한이 없어 이뤄지는 만큼 기존 기자회견, 대국민담화와는 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청와대는 간담회 종료 시간을 별도로 정하진 않았다. 질문에 대한 사전 조율도 없이 자유로운 주제로 토론식으로 질의응답이 이어진다.
우선 박 대통령이 이번 간담회 질의응답을 통해 ‘총선 패배의 책임’에 대해 어떤 언급을 할지 주목된다. 청와대는 그동안 선거는 청와대가 아니라 당이 하는 것이라며, 총선 결과에 대해 일정 부분 선을 긋는 분위기가 강했다. 하지만 국민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총선 패배의 책임이 박 대통령에게도 분명히 있다고 한 만큼, 이제는 박 대통령이 이 부분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식으로든 답변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은 자신의 국정 운영 스타일이 과거와는 달리 정치권과의 본격적인 소통과 협력으로 나아갈지에 대해 일단의 구상을 드러낼 가능성도 있다. 조만간 여당은 물론 야당지도부와의 회동 여부에 대해 언급할 수도 있다. 청와대는 정치권에서 나오는 “불통의 진원지는 청와대”라는 지적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에 대한 어느 정도의 성찰은 반드시 가져야 한다는 게 4·13 총선에서 나타난 민심의 결과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앞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의 정치를 해 나갈지가 주목받을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이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 개편 등 인적 쇄신에 대해 어떤 언급을 내놓을지도 관심이다. 박 대통령은 총선 이후 첫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참모들에게 흔들리지 말고 업무에 임할 것을 지시했다. 그런만큼 이른 시일 내에 개각 등은 바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하지만 20대 국회 출범 이후엔 일부 개각은 불가피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윤병세 외교부 장관,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윤성규 환경부 장관 등 박근혜정부 출범 초기 입성했던 원년멤버들이 교체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4대 분야 구조개혁 완수 등 핵심 개혁과제들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는 의지 역시 분명히 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의 5차 핵실험 가능성이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안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민들의 단합도 당부할 전망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박 대통령, 3년만의 편집국장 간담회... 3대 관전포인트는?
입력 2016-04-26 08:41 수정 2016-04-26 0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