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최근 일본 구마모토와 에콰도르 지진 발생을 계기로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 등 지진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도는 내년 상반기까지 기상청과 도내 공공시설을 연계한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하고 올해 추가경정예산에 관련 예산을 반영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기상청에서 전송한 지진정보를 관공서나 학교 등에 설치된 지진경보장치로 전달, 지진규모별 행동요령을 자동으로 방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다.
도는 경보발령에 50초가 소요되는 지진조기경보체계를 오는 2020년까지 10초 이내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진파의 특성을 고려할 때 200㎞ 거리에 피해 지역이 위치할 경우 10초 이내에 지진 경보를 하면 최소 25초 이상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또 올해 안에 공공시설물 100곳을 대상으로 내진보강공사를 추진하고 354곳을 대상으로 내진성능평가를 추진한다.
내진보강공사 대상은 도서관과 주민센터 등 건축물 33곳과 교량 57곳, 수도시설 8곳, 하수종말처리장 2곳 등이다.
내진성능평가는 시설물별로 내진기준에 따른 구조물의 지진내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도는 내진성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내진성능이 부족한 시설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보강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 소방서에서 실시하는 지진교육체험시설을 현재 9곳에서 14곳으로 확대하는 등 지진대피요령 대국민 교육도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도,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등 지진대책 추진키로
입력 2016-04-24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