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전문가’인 정의당 김종대 비례대표 당선자가 “(박근혜정부가) 국가 안보를 시민공동체의 가치가 아니라 마치 보수의 전유물인 것처럼 타락시켰다”며 “지금까지의 안보 논리는 공포를 조장하고 비리가 저질러지는 이런 악순환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당선자는 TBS라디오 인터뷰에서 “안보를 시민에게 되돌려주고 안보가 제대로 서려면 정치적인 논리를 탈색해 안전 그 자체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안보 문제를 정상화하기 위해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첫 번째는 군의 부조리와 비리 척결 문제, 두 번째는 병역 면탈 문제, 세 번째는 안보 포퓰리즘의 척결이다.
김 당선자는 “안보는 결과로 말하는 것”이라며 “무조건 결과가 성공해야 하는 것이지 실패하면 그 피해가 너무 치명적이기 때문에 안보 문제만큼은 결과로 이야기하자”고 주장했다. 특히 “보수 정권 8년 간 군사작전 중에 성공한 건이 있다면 단 한 개라도 대보라고 묻고 싶다”며 “천안함, 연평도, 목함지뢰 사건, 숙박귀순, 노크귀순 등 군의 비전문성으로 인해서 안보가 실패하는 것을 여러 차례 목격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당선자는 또 “선거 때 경제민주화가 많이 나왔지만 안보 민주화도 시급하다”며 “우리나라 국방 체제를 보면 전 세계 자유민주주의 국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군에 의한 안보독점체제”라고 지적했다. 군의 중요한 정책결정이나 국방운영에 관한 사항이 정부 통제에서 벗어나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통제에서 벗어나있다 보니 굉장히 비효율적이고 방만하다”며 “문란하게 국방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런 현실을 누구도 손을 못 댄다”고 지적했다.
김 당선자는 방산 비리를 ‘발본색원’하려면 정책 결정 과정 자체도 수사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의 수사는 실무자들에 집중돼 있다”며 “진짜 비리의 주범은 정책 결정 자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합참의 소요결정 부서라든가, 또 청와대 의사결정 과정이라든가 이런 것을 수사 대상에서 제외시켜버리고 밑에만 먼지 털듯 수사해버리니 재판 가서 반 이상이 무죄로 빠져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산비리는) 누가 뭐라고 해도 정권의 책임”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 군의 무기 체계에 대한 일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성능발휘가 안 되는 장비들은 전부 다 골라내 그 원인을 전부 다 추적해가는 단 한 번의 일제 조사 및 포괄적인 개혁으로 이걸 바로잡아야지 먼지 털듯 그 때 그 때 한 건씩 나오면 수사하다가 언제 해결이 되느냐”고도 했다.
김 당선자는 “방산비리는 반드시 일선의 전투원의 피로써 되돌아온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며 “돈도 돈 문제지만 왜 우리 아이들이 비리에 의해서 생명이 위협을 받는 이런 상황으로 내 몰리냐 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방부 저격수’라는 별명에 대해서도 “(그 별명은) 적절치 않다”며 “방산 비리를 척결하는 건 오히려 국방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저격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정의당 '안보 전문가' 김종대, '박근혜정부가 국가 안보를 보수의 전유물인 것처럼 타락시켜'
입력 2016-04-22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