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실기업 구조조정 방침에 적극 가담하고 있는 야권은 22일 정부에 ‘구조조정 청사진’과 ‘여야정 경제대화’를 요구하며 경제 드라이브를 이어갔다. 이슈를 뺏긴 새누리당은 뒤늦게 야당 견제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22일 기업 구조조정 문제를 포함한 정부의 경제정책 전반을 검토하기 위한 ‘경제특별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구조조정 이슈를 선점한 데 이어 경제정책 전반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유능한 경제정당’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포석이다. 앞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비대위 회의에서 “야당이 구조조정을 실질적으로 집행할 수 없다”며 “정부 스스로 현 상황을 인식해 구조조정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해 달라”고 했다.
국민의당도 정부의 ‘여야정 협의체’를 통한 구조조종 논의에 적극 참여할 뜻을 밝혔다. 주승용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당사 브리핑에서 “경제와 안보 등 모든 국정문제에 대해 야당까지 포함해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에 저희는 적극 찬성”이라며 “진작부터 이런 협의체를 구성했으면 이렇게까지는 안 왔을 것”이라고 했다. 안철수 공동대표도 최고위회의에서 “올해 남은 8개월은 우리 경제의 골든타임”이라며 여야정 경제대화와 국회 미래일자리위원회 상설화를 거듭 촉구했다.
새누리당은 야당 책임론으로 견제를 시도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와 새누리당은 이미 일관된 입장을 갖고 구조조정을 추진해왔다”며 “그동안 야당이 발목을 잡거나 관심을 두지 않아 처리되지 못한 것이 주지의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원 원내대표는 “야당의 발언이 진정성 있는 발언이었다면 국회에 있는 경제 법안 처리부터 협조하는 것이 순서”라고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부실기업 정리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 온 야당이기에 진정성에 의심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라며 “노조에 휘둘려 이런저런 조건을 달아 구조조정을 좌초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특히 “구조조정과 노동개혁은 경제 회생을 위한 실과 바늘 같은 존재”라며 노동개혁 4법 통과에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 새누리당은 기업 구조조정과 노동개혁을 논의하는 여야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데 이어 오는 27일엔 일자리 창출 대책 당정협의도 열기로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구조조정 3당 3색...이슈 빼앗긴 새누리 뒤늦게 야당 견제
입력 2016-04-22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