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은 입주기업 123개 업체 중 120개 업체의 피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정자산 5688억원, 유동자산 2464억원 등 총 8152억원의 손해를 봤다고 22일 밝혔다.
123개 업체 중 개성공단에서 대부분의 물량을 생산해왔거나 생산시설 자체가 개성공단에 위치해있는 49개 업체는 도산 위기를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개성공단기업협회는 밝혔다.
신원, 인디에프, 좋은 사람들 등 일부 상장사 10여개 업체를 뺀 나머지 업체들 대부분이 포함되는 셈이다.
협의회측은 사실상 폐업 위기에 놓인 기업이 전체의 70%에 육박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도산을 막기 위해 기업들이 1차적으로 직원들에 대한 고용을 포기하고 이후 자산 등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하나 둘 씩 도산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쿠쿠전자의 경우 연간 생산물량의 10%에 해당하는 96여만대를 개성공단에서 생산해왔다. 쿠쿠전자는 그러나 개성공단 사태 이후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에서 요구하는 물량을 맞추기 위해 양산 공장과 인천 공장에 인력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중이다.
신원의 경우 총 생산량의 12%를 차지했던 개성공단 공장이 폐쇄되며 차질을 빚었다.
여성복 브랜드 '베스띠벨리', '씨' 등을 보유한 신원은 그동안 매출 100억원 규모의 내수용 의류를 개성공단에서 생산해왔다.
또 123개 입주기업과 거래를 하던 유통·서비스 협력업체 90여곳이 자금 압박을 받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으로부터 대금을 지급받지 못해 연쇄 자금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합동대책반은 이에 대해 22일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개성공단 중단 직후 입주기업들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자금, 고용, 판로, 생산기반 등 다방면으로 지원정책을 마련했다"고 해명했다. 자산손실 주석처리에 대해서는 "손실을 재무제표에 반영할 경우 상장폐지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기업들의 요청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