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시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했던 국군이 66년만에 가족품에 안긴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1일 “1950년 8월 미 7사단 소속 카투사로 입대해 장진호 전투에 참가했다 전사한 고 임병근 일병(1930년 5월 5일생) 유가족에게 임 일병의 유해를 전달한다”고 밝혔다.
임 일병의 유해는 북·미합의에 따라 지난 2000년 미국 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 사령부(DPPA 전 JPAC)가 북한지역에서 미군 유해발굴작업중 2001년 발굴돼 하와이에 있는 JPAC본부로 이송됐다. 발굴유해 신원확인과정에서 12위가 아시아계로 확인되자 국방부 유해발굴단이 JPAC본부를 방문해 한·미 공동감식을 실시했다. 감식결과 국군전사자로 확인돼 이들 유해는 2012년 5월 국내로 봉환됐다.
당시 유가족과 유전자가 일치했던 고 김용수·이갑수 일병은 가족품으로 돌아갔지만 임 일병은 확인이 되지 않았다. 유가족 탐문 담당이 꾸준히 가족을 찾는 과정에서 임 일병을 기억하는 조카 임현식(71)씨를 알게 돼 유전사 시료를 채취해 신원이 확인됐다. 국내 봉환된 지 4년만이다. 임현식씨는 “삼촌유해를 모시는 게 소원이었는데 이제사 가슴에 맺힌 한을 풀수 있게 됐다”고 66년만에 돌아온 삼촌을 맞는 소회를 밝혔다. 임 일병 유해는 유가족 요청에 따라 6월중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66년만에 가족 품으로, 장진호 전투 전사 고 임병근 일병
입력 2016-04-21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