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산국제영화제(BIFF)를 전면 보이콧하겠다는 영화계 결정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영화제 강행 의지를 고수했다.
부산시는 “영화제가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영화제 참가거부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밝혀왔듯 BIFF와 협력해 올해 영화제를 개최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이어 “조직위원장 민간화를 포함한 합리적인 정관개정을 위해 BIFF와 계속 협의하고 있다”며 “20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변함없는 열정과 관심을 보여주었듯 다시 한번 영화계, 국내외 영화인과 영화팬, 부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일방적인 영화제 강행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제 개최 협조를 부탁한다는 말만 있을 뿐 앞서 비대위가 발표한 요구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BIFF와 협의하고 있다”고도 했으나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앞서 비대위는 올해 치러지는 제21회 BIFF 보이콧을 선언했다. 비대위는 “단체별 회원들에게 의견 수렴을 거친 결과 응답자의 90% 이상이 보이콧에 찬성했다”며 “이에 따라 한국영화계는 올해 BIFF 참가를 전면 거부하게 됐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올해 영화제가 6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이런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은 유감”이라면서도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보장 더 나아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기반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올해 BIFF에 영화인들이 참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시의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지켜져 모쪼록 영화제의 정상화가 이루어지길 강력하게 바란다”고 덧붙였다.
범 영화인 비대위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여성영화인모임, 영화마케팅사협회 이상 9개 영화 단체로 결성됐다.
영화계가 이렇게 한 목소리를 낸 건 2006년 스크린 쿼터 축소 반대 이후 10년 만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관련기사 보기]